▲ 조대인 기자

[투데이에너지 조대인 기자] 석유와 LPG시장에 대한 정부 차원의 퇴로 마련이 필요해 보인다. 

전기와 수소차로 대변되는 친환경차로의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주유소는 물론 LPG충전시장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 산업의 성장을 위해 각종 인센티브를 통한 정책 드라이브를 걸었지만 기후변화에 따른 에너지전환 정책을 추진하면서 소외되는 것도 모자라 나몰라라 하는 모양새에 관련 업계에서는 불만과 아쉬움의 목소리가 적지 않다. 

사업을 하면서 수익을 얻었기 때문에 자구책으로 토양오염 등에 대한 복원 조치를 취하라고 하는 것은 석유와 LPG산업에 대한 시작은 있지만 마무리되는 것에 대한 정책적 관심과 지원이 사실상 없기 때문이다.  

특히 수소·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을 위해서는 주유소나 LPG충전 시설들의 활용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급등한 난방유 부담에 따른 시장 중심의 가격 결정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는 것도 문제다. 

정부의 인허가를 받아야 하는 에너지산업 특성상 원가 요인을 반영한 가격 결정이 아니라 정치 또는 정책적 이유로 때론 손실 상황에도 이를 반영하지 못하고 사례가 없지 않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미수금이 누적되고 적자 상황이 연출됨에도 불구하고 전기나 도시가스, LPG가격도 현실화되지 못한 상황이다. 

수요와 공급에 따른 시장 자율적인 기능들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때 정부의 시장 개입은 최소에 그쳐야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코로나19로 인해 고통받는 국민들의 부담 완화를 위해 보류해 왔던 이들 가격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상황으로 더 치솟으며 연출된 결과라는 점을 알고 있다. 

어려움은 나누면 줄고 즐거움은 배가된다는 말이 허언만은 아니 듯 어려움에 직면한 석유와 LPG산업이 자연스럽게 연착륙되고 탈출구를 찾을 수 있도록 정부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주유소는 물론 LPG충전소의 판매량은 물론 사업자 수가 점차 감소하면서 살아남기 위한 사업자의 경쟁이 치열해지게 될 것은 분명하다. 

이럴 때 이들 인프라가 자연스럽게 수소·전기차 충전시설로 변모되고 안전거리 등에 부적합한 곳은 토양오염 복원 비용 부담 등에 방치되도록 내버려 둘 것이 아니라 지원을 통해서라도 활용 가능한 방안으로 정부와 지자체 등의 관심과 지원책 마련이 필요해 보인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