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시현 기자

[투데이에너지 홍시현 기자] 길거리에는 반팔을 입은 사람들과 실내에 서는 냉방 가동 시간이 늘어나고 있다.

냉방 시간이 길어질수록 정부의 고민은 커 진다. 전력 소비가 급증하면서 단전 등 전력 공급에 차질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이미 우 리는 2011년 블랙아웃(대정전)을 경험한 바 있어 재발을 막고자 여러 방안을 강구되고 시행되고 있다. 그중 하나가 가스열펌프 (GHP)다.

2013년 6월 ‘공공기관의 에너지이용합리 화 추진에 관한 규정’을 변경해 공공기관 건 물의 연면적이 1,000m² 이상인 건축물 신?증 축 시 냉방설비의 60% 이상을 비전기식으로 설치토록 의무화했으며 여기에 설치비 등 지 원정책에 힘입어 현재 약 7만대 가량이 운영 중이다.

하지만 인지도가 높지 않아 가스냉방 비중 이 약 5~10%에 불과하다. 전문가들은 가스 냉방 보급률을 20%까지 높여야 불시에 발생 할 수 있는 전력수급 위기에 안정적으로 대 응할 수 있다고 분석과도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우리와 기후조건이 비슷한 일본의 가 스냉방 비중은 약 23%에 달한다. GHP 보급이 왜 저조한지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GHP는 EHP(전기열펌프)보다 특정 기 간에 발생하는 peak 부하에 자유롭고 정부 지원을 받는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초기 투 자비, 유치관리가 어렵고 정기점검 비용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초기 투자비는 지 원금으로 어느 정도는 보완이 될 수 있으나 유지관리에 있어서 GHP를 주저하는 이유일 수 있다. 실제로 GHP 사용 건축물에서 사용연한이 다 안된 GHP를 철거하고 EHP로 교체하는 일이 심심치 않게 발생하고 것을 보면 유지 관리 때문이라는 의견이다.

이제는 일단 설치하고 보자는 식으로는 GHP 보급 확대에는 한계가 드러났다. 유지관 리 등 추가적인 보완 정책이 필요해 보인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