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기후위기와 탄소중립에 대한 목표 하에 재생에너지의 관심과 정책적 지원은 늘어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조기 수립에 착수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도 신재생에너지와 원자력발전의 확대가 예상되고 있는 상황이다.

문제는 신재생에너지 확대가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변동성을 보완할 ESS 등 백업설비에 대한 관심도가 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태양광, 바람 등 자연에 의존하는 신재생에너지는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깨끗한 에너지원이지만 변동성이 최대 약점으로 지적받는다. 이를 보완해 발전량이 많을 때 일시 저장해뒀다가 발전량이 적어지면 저장했던 전력을 활용하는 백업 설비가 반드시 필요하다.

대표적으로 ESS가 꼽힌다. 다만 최근 ESS 관련 화재가 지속 발생해 산업자체가 위축되고 있는 상황이다.

ESS를 대체할 방안으로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수전해를 실시해 수소형태로 저장했다가 발전량 감소시 연료전지로 발전을 실시하거나 전기로 높은 곳에 물을 끌어올렸다가 발전량이 적을 때 이를 활용하는 양수발전 개념도 구상되고 있다.

하지만 수소발전 방식은 아직 기술적으로 갈길이 먼 상황이며 양수발전은 자연환경상 건설할 곳이 한정돼 있다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11차 전기본에서는 ESS 등 백업설비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ESS는 그동안 지형적, 기술적 제약 없이 다수의 곳에 설치돼 신재생에너지의 변동성과 간헐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수행해왔다.

지속적으로 발생한 ESS 화재 영향으로 업계가 고사되도록 방치할 것이 아니라 정부차원에서 ESS에 대한 안전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 투자와 함께 산업을 육성할 방안이 도출됐으면 한다.

특히 올해는 분산형 전원을 확대, 장려하기 위한 분산에너지법이 통과되기도 했다.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분산에너지가 활성화 되기 위해서는 ESS 등 백업설비는 반드시 필요한 ‘바늘과 실’ 같은 존재일 것이다.

이번에 수립에 착수한 11차 전기본에서 신재생에너지 비중확대에만 신경 쓸 것이 아니라 백업설비까지 확충해 내실있는 보급확대가 이뤄졌으면 한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