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탁송수 극동
대학교 친환경
에너지공학과
교수

[투데이에너지] 안토니우 쿠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올해 7월 온도가 역대 가장 최고치를 기록했다는 세계기상기구(WMO)의 관측 결과를 토대로 “지구온난화시대를 넘어 지구 열대화 시대가 도래했다”라고 경고했다.

세계 각국 정부는 이미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수소 등 신재생에너지를 통한 온실가스 실질 배출량 Zero(넷제로)를 목표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2020), 제1차 수소경제이행기본계획(2021), 제10차 전력수급 기본계획(2023) 등을 토대로 탄소중립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신재생에너지 사용의 비중을 늘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탄소중립 등 급격한 시대적 변화 시기일수록 산업구조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새로운 인재양성 및 혁신창출이 필요한데 이는 산학협력을 통해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다.

이미 전 세계적으로 미국 리서치트라이앵글, 대만의 신주과학단지, 두바이 실리콘오아시스 등 대표적 산학연 집적지 조성을 통해 혁신을 창출하는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우리나라도 지난 2011년부터 전국에 총 17개 산학융합지구를 지정해 산업단지와 대학을 공간적으로 통합하고 현장중심의 산학융합형 교육 시스템을 도입해 산업생태계 조성, 전문인력양성, 공동연구개발 등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지역 혁신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이렇게 산학협력을 위한 다양한 정부정책과 많은 사업이 추진 중이지만 시간이 갈수록 산업 현장의 인력 부족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이차전지는 석박사급 연구·설계인력 1,013명, 학사급 공정인력 1,810명이 부족한 상황이며(2030 이차전지산업 발전전략, 2021), 수소전공석·박사 인력은 전체 생산분야에서 4% 밖에 되지 않아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는 실정이다(강상규 교수, 국회 세미나 자료, 2023.4.27.일).

이러한 시기에 충북은 에너지분야 산업육성 및 산학협력을 활성화하고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2019년 산업부로부터 충북에너지산학융합지구로 지정받았으며 충북에너지산학융합지구를 관리하고 운영하기 위한 지역혁신기관으로 2020년 충북에너지산학융합원이 설립됐다.

충북에너지산학융합원은 에너지산업의 국가성장거점 조성을 목표로 에너지 캠퍼스 및 인프라조성을 통해 에너지분야 복합지원 클러스터 체계를 구축해 대학과 기업의 산학협력을 주도하고 현장맞춤형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세부과정으로 이차전지 제조공정 및 시험평가실습, ESS/EV 배터리 재사용 실습, BMS 프로젝트 랩 운영, 태양광 모듈 신뢰성평가 및 유지보수 등 융복합 에너지 재직자 교육운영과 리튬이온전지 개선, 박막진공 공정개발, 고용량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제조 등 대학-기업간 공동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있으며 고등기술연구원과 협력해 에너지기업의 다양한 맞춤형 R&D, R&BD 지원, 태양광 ICT 연계 원스톱 지원 플랫폼 구축지원 등 기업 연구개발지원 사업과 수소에너지 안전기술 향상 협의체, 등 산학협력 네트워크 운영, R&D인턴십, 창업지원, 입주지원(인큐베이팅)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산학연 협력모델을 통해 기업성장과 전문인재양성, 산업생태계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산학연 협력모델 활성화를 위한 국가적 재정 및 제도적 지원은 미비한 실정이다.

정부의 6년간 재정지원이 종료되는 시점 이후 자립화를 위한 산학융합원 자체 자구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지역 내에서는 다른 혁신기관 등과 과열된 경쟁을 통해 신규사업을 수주해야 하는 구조적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탄소중립사회의 선도모델로 운영되고 있는 충북에너지산학융합원의 안정적 사업 운영과 에너지산업분야의 산학연 협력체계 활성화를 위해 정부 및 지자체의 안정적인 재정적 지원과 관심이 더욱 필요하다.

전국의 다른 산학융합원 또한 운영의 다각화 및 전문화를 통해 산학융합에 앞장서는 한국형 우수모델로 거듭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