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이성철 기자] 한전산업개발의 재공영화를 위한 한국전력공사의 한산 지분 인수 작업이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고 김용균씨 사망사건을 계기로 발전현장에서의 ‘위험의 외주화’를 방지하고자 2020년 5월 통합 노·사·전 협의체는 한전산업개발을 한전의 자회사로 편입시킨 후 연료·환경설비 운전 비정규직 노동자를 한전산업개발 정규직으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그해 7월 산업통상자원부는 한전과 산하 발전 5사(한국남동발전·한국남부발전·한국동서발전·한국서부발전·한국중부발전)에 ‘통합협의체 후속조치 이행 협조 공문’을 발송하며 한산의 재공영화에 힘을 실었다.

이후 2021년 7월 한전과 자유총연맹 간 주식양수도 협약 체결됐으며 2022년 9월에는 자유총연맹에서 한전에게 지분 거래(2%+프리미엄)를 제안했다.

현재 한전산업개발은 자유총연맹이 31%로 최대주주이며 2대 주주인 한전이 29% 의 지분을 보유중이다.

한전이 자유총연맹의 2%지분을 인수해 최대주주로 지배력을 행사하면 한전산업개발은 재공영화가 이뤄질 수 있다.

한전 김동철 사장도 국정감사에서 이를 인정했다.

그러나 현재까지도 한전은 자유총연맹의 제안에 답을 하지 않고 있다.

이러한 한전의 미온적인 움직임이 계속되자 한전이 자유총연맹의 눈치를 보고 있는 것이라는 의혹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자유총연맹 입장에서 한전산업개발은 ‘마르지 않는 온천’ 이다.

2022년 기준 배당금 21억원을 수령했으며, 2003년 제 1대 주주가 된 이후 매년 최대 100억원대에서 최소 수십억원에 이르는 배당금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김 의원은 “자유총연맹이 알짜배기인 한전산업개발을 매각하는 것을 꺼리기에 한전이 적극적으로 협상에 임하지 않고 있는 것 아닌가”라는 의혹을 강하게 제기했다.

김 의원은 “위험의 외주화를 방지하고 발전현장에서의 안전강화라는 대의를 위해 국가차원에서 한산의 재공영화도 추진되고 있는 만큼 한전에서도 조속히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하며 “고 김용균씨의 희생을 우리 사회가 더 이상 반복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김동철 사장은 “자유총연맹과 지분인수 가격에 이견이 있지만, 한전이 한전산업개발의 재공영화를 약속한 만큼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답했다 .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