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가시리풍력단지 전경
제주 가시리풍력단지 전경

[투데이에너지 이성철 기자] 제주도가 전력포화 상태에 직면했는데도 재생에너지 설비는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육지계통 또한 출력제어가 발생하기 시작한 만큼 신규계통 연계 금지 등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국민의힘 한무경 의원이 한국전력 등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5년 3건으로 시작된 제주도 출력제어 건수는 지난해 132건, 올해 141건(8월 기준)으로 빠르게 늘고 있다.

변동성이 큰 풍력·태양광 보급이 빠르게 이뤄져 과잉 전력 생산에 따른 정전 등을 막기 위해 출력제어가 이뤄진 것이다.

실제로 제주 도내 전력망은 새로운 신재생 발전설비를 받아들이기 어려울 정도로 포화 상태다.

제주 지역 발전사업허가 신청에 대한 한전의 ‘계통 영향 검토’ 결과를 보면 곧바로 전력망에 접속 가능한 ‘연계가능’ 건수는 지난해부터 전무하다.

한전에서 현재 제주 지역을 전력포화 상태로 판단했지만 제주 지역의 재생에너지 전력설비는 꾸준히 증가했다.

실제로 올해 제주시장 전력시장 참여 발전설비용량은 715㎿로 2017년 393㎿ 대비 80% 넘게 증가했다.

이에 따라 육지와 연결된 송전망(제3연계선)이 준공되더라도 신재생 보급 과속으로 출력제어가 더 늘어날 우려가 있다.

또한 육지에서도 봄·가을, 신재생 중심으로 전력이 넘쳐 출력제어가 현실화돼 제주의 잉여전력을 역송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호남지역의 태양광 출력제어는 2021년 3회, 올해 2회로 집계됐다.

향후 전력을 보내려는 제주와 받지 않으려는 호남 간의 ‘갈등의 씨앗’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의원은 “제주뿐만 아니라 육지에서도 출력제어 현상이 발생하면서 윤석열 정부에 대한 재생에너지 사업자들의 불만이 폭발하고 있다”라며 “출력제어가 예상되는 지역에는 신규연계를 차단하는 등의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