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최인영 기자] 지난 정부가 예산 670억원을 들여 광주광역시와 경남 창원시에 추진한 ‘거점형 수소생산기지’가 애물단지로 전락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노용호 의원(국민의힘)은 한국가스공사로부터 제출 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확인한 결과 생산기지의 정상 가동을 위해서는 생산능력의 최소 35%를 만들어야 하지만 공급처를 찾지 못해 비상이 걸린 것으로 드러났다고 24일 밝혔다. 35%를 생산해도 매년 광주기지 13억원, 창원기지 16억원의 손실이 발생한다고 덧붙였다.

노 의원에 따르면 연간 광주기지는 1,460톤, 창원기지는 3,650톤의 수소를 생산할 수 있지만 올해 공급물량은 광주 361톤, 창원 601톤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당초 가스공사가 실시한 수요조사 결과에도 한참 못 미치는 것으로 집계됐다. 2021년 10월 가스공사 이사회가 조사한 수요 예측치보다 각각 14.7%, 52.3% 미달된 셈이다.

더 큰 문제는 가스공사가 경영 위기에 내몰린 상황에서 수요처 확보를 통한 생산과 매출 증대마저 불투명하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의원실 관계자는 “두 기지는 천연가스를 물과 반응시켜 수소를 만드는 개질 방식을 쓰고 있는데 이는 석유화학 공정에서 부수적으로 나오는 부생수소보다 생산단가가 비싸다”며 “실제로 kg당 생산단가를 보면 광주기지 3,783원, 창원기지 1,523원 더 비싼 것으로 조사됐다”고 설명했다.

뿐만 아니라 수소 1kg을 생산하면 이산화탄소 10kg이 나오는데 광주와 창원기지에는 탄소포집설비(CCU)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말했다.

이같은 상황에서 현재 가스공사가 평택에 3번째 거점형 수소생산기지를 준비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고 덧붙였다.

노용호 의원은 “탈원전·신재생 확대 정책에 매몰된 지난 정부가 제대로 된 수요 파악도 못한 채 개문발차(開門發車)한 대표 사례로 생각한다”며 “윤석열 정부가 세계 1등 수소산업 육성을 위한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는 만큼 지금이라도 사업 문제점을 면밀히 분석해 애물단지가 보물단지가 될 수 있도록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