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연구원이 도입한 한국형 부유식 라이다 시스템이 설치된 모습
전력연구원이 도입한 한국형 부유식 라이다 시스템이 설치된 모습

[투데이에너지 이성철 기자] 한국전력 전력연구원은 재생에너지 확대 요구에 따라 국가 차원의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해상풍력 사업추진을 위한 ‘해상풍력 적합입지 분석 기술 및 공공데이터’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전력연구원은 그동안 국내 해상풍력 사업은 주민, 사업자, 지자체 간의 이해관계가 달라 단지개발이 늦어지는 어려움이 있었고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력연구원은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원으로 ‘공공주도 해상풍력 적합 입지발굴 사업’을 수행중이다.

전력연구원이 주관하고 해양환경공단, 해양수산개발원, 한국환경연구원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공공주도 해상풍력 적합 입지발굴 사업'은 해양공간 조사를 통해 풍력발전기를 설치하기에 적합한 입지를 발굴하는 연구다.

지난 2021년 군산시와 영광군을 대상으로 1차 사업을 완료했고 2022년 인천시를 대상으로 2차 사업이 시작돼 올해 모든 사업이 마무리되는 단계다. 그리고 공공주도 해상풍력 사업에 선정된 3개 지자체 해역을 대상으로 풍황자원을 측정하고 사전 환경모니터링 기술을 통해 최적의 입지를 분석했다.

또한 주민과 어민을 대상으로 해상풍력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지역 선정에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해 사회적 수용성을 향상시켰다.

이같은 노력을 바탕으로 전력연구원은 경제성, 수용성, 친환경을 모두 고려해 4.2GW 규모의 해상풍력단지를 지자체에 제시했다.

군산 5개 단지 1.4GW, 영광 5개 단지 1GW, 인천 3개 단지 1.8GW를 도출하며 입지 발굴을 완료했다는 설명이다.

이와 함께 전력연구원은 ‘Nomad Hull’ 타입의 한국형 부유식 라이다 플랫폼을 제작해 계측의 신뢰성을 높였고 풍황자원 측정 비용을 기상탑이나 외산 부유식 라이다 대비 60% 이상 절감했다고 밝혔다.

Nomad Hull 타입이란 1940년대 미국 해군이 해양 데이터 취득을 위해 최초로 디자인한 선박 모양의 부유체로, 높은 파도에도 흔들림이 적어 해당 기술의 적용으로 계측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다년간의 연구로 확보한 기술과 경험, 공간정보 등을 기반으로 전력연구원은 계통수용성을 고려한 해상풍력 계획입지 기준선 구축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해상 그리드 설계의 근거로 활용해 해상풍력으로 인한 환경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전력망 접속에 대한 주민수용성을 개선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체계적인 계획입지 모델 정착을 통해 지자체와 주민이 함께하는 공공주도 단지개발이 추진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전력연구원 관계자는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해상풍력 개발을 위해 계획입지 모델을 바탕으로 전력연구원이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탄소중립 실현을 선도하고 지역경제 발전과 주민 상생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