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진호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연구부총장 

[투데이에너지] 1839년 Edmond Becquerel 박사가 광전효과 (photovoltaic effect)를 처음 발견한 후 190년이 채 안돼 2022년 세계 태양광 발전 누적용량이 드디어 1TW (1000GW)를 넘어섰다.

표준 원자력발전소 기준 1,000개 이상의 원자력발전소 규모의 태양광발전시스템이 전 세계에 설치된 것이다.

태양광 발전은 2050년 전 세계적인 탄소중립 달성에 있어 가장 중요한 발전원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의 최근 보고에 따르면 2023년 들어 최초로 태양광이 에너지 분야 신규 투자에 있어 석유 부문 신규 투자를 앞설 전망이고 몇 년 후 최대의 에너지 신규 투자 분야가 될 것이자명 하다.

이러한 태양광발전시스템의 글로벌한 시장 확대 이면에는 매우 심각한 문제가 하나 있다. 

태양광 가치사슬 전반에 걸쳐 중국이 제조 분야를 독점하고 있다는 것이다.

원재료인 폴리실리콘의 중국 점유율은 2022년 말 기준 이미 85%를 넘어섰고, 잉곳/웨이퍼는 97%, 전지(셀)는 84%, 그리고 모듈은 77.8%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태양광 공급망이 어디에 있든지 뭐가 문제인가? 값싸게 또한 충분히 공급되면 되는 것 아닌가? 중국의 독점이 정말 큰 문제인가?

이러한 주장도 일부 있는 것이 사실이고 일면 그럴듯하게 들리기도 한다.

그러나 좀 더 세밀하게 살펴보면 여러 문제를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먼저 중국 태양광 가치사슬 제조업 기업들의 지리적 위치다.

예를 들어 세계 폴리실리콘 공급 용량의 42%가 신장지역에 있는데(공장 한 개가 14% 차지), 이 지역은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이고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물 부족과 집중 강우가 번갈아 자주 발생하는 지역이기도 해 갑자기 공장이 멈출 수 있는 위험이 크다.

또 신장지역의 강제노동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다. 미국과 EU를 중심으로 여러 국가들이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으며 미국은 2021년말 ‘위구르 강제노동방지법’을 제정해 이 지역에서 생산된 제품의 수입을 금지하는 조처를 발동하기도 했다.

중국의 태양광 공급망 독점에 대응하는 조치로 미국은 최근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활용하고 있고 그 결과 많은 국내 및 해외 기업들이 미국으로 제조공장을 옮기고 태양광 가치사슬 전반에 걸쳐 대규모 투자를 하고 있다.

한편 유럽의 대표 태양광 제조기업들도 미국으로 투자를 확대되는 추세다.

이에 따라 EU에서는 이른바 TCTF(한시적 위기 및 전환 프레임워크)를 발동했고 유럽 내 지정된 장소에 제조공장을 지으면 혜택을 주면서 유럽 내 생산을 독려하고 있다.

그럼 우리나라는 이러한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 달콤한 사업 환경과 조건을 제시하는 외국에 공장을 짓고 투자하는 기업들을 무조건 국내로 돌아오라고 애국심에만 호소할 수는 없다. 

그렇다고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이른바 국내 태양광 제조업의 공동화(Hollowing Out)는 가속돼 국내 태양광 제조의 뿌리마저 뽑힐 것이 자명 하다.

지금은 중국을 우회해 태양광 글로벌 공급망을 구축하려고 하는 국가들과의 연합과 이른바 ‘친구모으기 전략(Friend-shoring Strategy)’이 필요한 때다.

이를 통해 태양광 공급사슬에서 폴리 실리콘/웨이퍼/전지 등의 안정적인 ‘우회공급망’ 을 확보하고, 핵심기술 개발이라는 혁신의 원동력은 국내에 유지함으로써 한국이 개발한 혁신제품이 해외공장에서 생산되고 수출되며 내수에도 활용되는 전략이다.

관련해 태양광 관련 핵심 소·부?장 중소·중견 기업들에 대한 해외투자의 인입도 그 전략에 포함해 태양광 제조에 있어 한국의 경쟁력을 유지 발전시키는 전략이다.

물론 중국과의 기존 관계는 혁신동력 유지의 차원에서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우리에게 다가온 위기를 새로운 접근과 전략으로 극복해 보자.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