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전력계통 조기선PD

[투데이에너지] 2024년 갑진년, 푸른 용의 해가 시작됐다.

돌이켜보면 지난 2023년 우리의 전력계통은 많은 도전 과제를 헤쳐오면서 전력의 적기 공급이라는 막중한 시대 화두가 주어진 해였다.

우리 전력계통의 변화와 혁신을 위한 대내외 여건은 그리 녹녹하지 않다. 다행스럽게 정부는 지난해 12월 어려운 여건속에서도 국내 전력계통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킬 계획과 방향을 담은 「전력계통 혁신대책」을 발표했다.

전력계통 혁신대책이 전력계통 대전환을 향한 정책의 이정표라는 점에서 새해를 시작하며 그 방향을 살펴본다.

‘무탄소전원 확대와 적재적소 전력공급을 뒷받침하는 전력계통 시스템 구현’에 비전을 두고 ‘핵심 기간망 건설기간 30% 단축’ ‘송전선로 건설규모 10% 절감’ ‘계통 유연성 2배 증가’를 3대 목표로 설정했다.

세부적인 추진전략은 전력계통의 건설, 계획, 운영 차원에서 제시하고 있다.

첫째는 ‘전력망 신속 확충을 위한 패러다임의 혁신’이다. 무탄소전원을 전력소비지에 원활히 전송하기 위한 국가 HVDC 기간망을 건설한다. 

동해안에서 수도권으로 동-서를 횡단하는 HVDC를 2026년 6월까지 건설해 동해안에서 생산한 전력을 수도권으로 보내고 호남의 원전이나 재생에너지를 수도권으로 공급하는 남-북 종단 해저 HVDC 송전선로를 2036년 준공 목표로 추진한다.

각각 8GW급 송전선로로서 국가기간 전력망을 구축하게 된다.

더불어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 제정을 통해 송전사업자의 노력에 더해 국가 지원방식으로 전환을 도모해 건설기간을 3~4년 단축하고 전력망 확충의 예측가능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더불어 지자체와 주민이 참여하는 새로운 지역망 확충체계를 도입하고 국토의 효율적 이용과 건설 속도를 높이기 위해 도로나 철도 등 SOC와 전력망을 공동으로 건설하는 새로운 건설 모델을 도입한다.

둘째는 ‘전력망 유한자원 시대에 맞는 새로운 질서 마련’이다.

제한된 국토에 높은 에너지수요를 감당하기 위해서는 많은 전력망 설비가 요구되나 수용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이다.

그렇다면 유한한 전력망 자원을 합리적으로 이용할 방안을 고민해야한다.

발전이나 소비시설을 계통여건을 고려해 합리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산하고 계통특별관리지역을 지정해 지역에 특화된 맞춤형 대책을 마련하며 지자체가 참여하는 에너지 거버넌스를 가동한다.

또한 접속허가 기준을 계통여건과 저장설비 및 제어설비 포설 여부에 따라 보다 유연하게 적용해 전력망의 이용 효율을 높이며 재생에너지 계획입지 제도와 소비시설의 전력계통영향평가 제도를 도입해 전력망 보강 부담을 경감한다. 

또한 전력계통 통합 정보시스템을 구축해 국민이 전력망 정보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한다는 계획이다.

셋째는 ‘유연하고 안정적인 전력계통 시스템 구축’이다. 과거와 달리 전력계통에 접속되는 자원이 다원화되면서 계통 운영 측면에서 많은 도전을 받고 있다.

전력계통이 어떠한 형태의 발전원도 손쉽게 허용하려면 천문학적 비용과 시간이 필요하다.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다.

때문에 발전원들이 적정한 기준과 수준에서 유연성과 안정성에 기여하도록 하고, 기여 정도에 따른 보상 체계를 구비한다. 

또한 전력계통 회복력(Grid Resilience)를 강화하여 지속가능성과 기능연속성을 확보하며 배전망의 새로운 변화를 담아 배전사업을 정립하고 송전과 배전의 협조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지난해 정부는 전력계통 혁신대책을 통해서 전력계통 대전환을 위한 긴 여정을 알렸다.

어느 것 하나 쉬운 과제가 없으며 어느 것 하나 소홀히 다룰 수 있는 과제도 없다. 그리고 중앙정부만 노력할 문제도 아니며 지방정부를 비롯한 지역사회가 동참해 머리를 맞대야 해결할 수 있는 과제도 상당수다.

우리 모두의 적극적 참여와 관심이 어렵게 마련한 전력계통 대전환 목표를 향한 긴 여정의 추진 동력이 될 것으로 믿는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