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빌리티용 액체수소 기술 전문가 워크샵에 참석한 주요 인사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투데이에너지
모빌리티용 액체수소 기술 전문가 워크샵에 참석한 주요 인사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투데이에너지

[투데이에너지 최인영 기자] “액화수소는 대용량 수요가 요구되는 분야에서 경쟁력을 높여 갈 것이다. 액화수소산업은 연평균 5.7% 성장이 예상되는 분야로 비용과 운용 측면에서 고압의 기체수소와 다른 비교우위를 갖을 것이다”

강승규 한국가스안전공사 수소연구실 책임연구원은 29일 열린 모빌리티용 액체수요 기술 전문가 워크샵에서 이같이 밝혔다.

강승규 연구원은 “탄소세 적용이 본격화될 경우 탄소 다배출 업종인 수송, 발전, 철강·시멘트, 석유화학 등은 산업 존폐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액화수소는 수소를 대량으로 저장·운송하는 수단으로서 에너지자급률을 높일 뿐 아니라 에너지공급망 다변화에도 기여하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우리나라가 수소를 통해 에너지자립률을 20% 가량 달성하면 화석연료 대비 우수한 성적을 기록하는 셈이다”고 말했다.

우리 정부는 지난해 5월 국민 안전과 산업 육성간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해 수소안전관리로드맵2.0을 발표하면서 3대 전략 10대 추진과제(64개 이행과제)를 제시했다.

아울러 2030년까지 수소상용차 3만대 보급, 액화수소충전소 70기 구축을 달성하고 2036년까지 청정수소 발전 비율을 7% 수준으로 늘려갈 계획을 밝혔다.

강 연구원은 “기존 수소 모빌리티분야 규제는 자동차에 초점을 맞추다 보니 선박, 항공, 철도, 건설기계 등 새로운 모빌리티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현재 규제샌드박스와 규제특구사업을 통해 추가 안전기준을 정립해 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액화수소분야에서 중요한 규제 이슈는 충전 프로토콜이라고 강조했다. 자동차·수소충전소 부품은 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 따라 안전기준을 적용하고 있지만 이 역시 차량에 최적화 돼 있어 기타 새로운 모빌리티에 적용하기 위한 안전기준 정립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강 연구원은 “유럽 등의 국가에서는 그간의 보급 경험을 살려 액화수소와 관련해 나름의 기준을 세워가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국제 표준과 국내 사용경험 등이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해외 사례를 벤치마킹하고 있지만 국내 상황에 그대로 적용할 때 변수가 생기는 경우가 있어 규제샌드박스와 규제특구사업을 통해 추가 안전 기준을 실증하고 있다”고 말했다.

수소안전관리로드맵 2.0에 따르면 2024~2025년 액화수소 관련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목표다.

강 연구원은 “정부 목표치 대비 아직 성과가 미흡하지만 해외 사례와 비교 시 우리나라의 수소 산업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수소용기, 용기부속품, 리셉터클 모듈분야에서 액화수소를 적용하기 위한 기준 마련을 위해 기술개발을 이어가고 있다”

최근 국제표준화기구(ISO) 수소기술위원회(TC 197) 내에서는 상용차와 항공분야에 적용할 액체수소 기술 표준이 제·개정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3년 수소승용차(투산ix) 출시 이후 트럭, 버스, 지게차 등 상용차와 드론 등을 상용 보급했지만 압축수소 연료탱크를 탑재한 모빌리티에 한정돼 있다. 이번 워크샵은 액체수소 기술 전문가와 기업간 교류와 협력을 위해 마련됐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주관하고 H2KOREA, SZU KOREA가 후원하면서 서울 글로벌센터에서 개최됐다.

이날 발표는 △모빌리티용 과냉각액체수소 충전기술(최용남 한국원자력연구원) △과냉각액체수소 저장·충전 기술 실증 계획(이희주 일진하이솔루스) △액체수소 충전·저장 관련 전산해석 기술(이창열 에이블맥스) △액체수소 추진선박 기술(김명성 한국기계연구원) △상용급 수소액화플랜트 기술개발 현황(김태훈 한국기계연구원) △액체수소 모빌리티 관련 규제 현황(강승규 한국가스안전공사) △선박용 액체수소 기술 표준 동향(정지현 KOMERI) △자동차용 액체수소 기술 표준 동향(박철우 현대자동차) △항공용 액체수소 기술 표준 개발 현황(이지현 한국원자력연구원) 등을 주제로 이어졌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