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인영 기자

[투데이에너지 최인영 기자] 정부는 지난해 2050탄소중립 비전을 법제화하면서 올해를 탄소중립 이행 원년으로 삼았다.

제조업 수출 기반 우리 경제구조에서는 유럽연합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나 RE100 등 무역 장벽에도 대응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태양광, 수열, 지열 등 재생에너지원 확보 여건이 비교적 열악한 우리나라의 경우 해상 풍력이 최적 답안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관련 업계 또한 올해 글로벌 풍력 신규 설치 규모가 지난해보다 18% 늘어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영국, 네덜란드, 덴마크 등 세계 시장에서도 대규모 해상풍력이 예정돼 있어 세계 해상풍력 시장규모는 향후 10년간 5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삼면이 바다로 둘러 쌓인 우리나라도 해상 풍력발전 태동기를 맞고 있다.

문제는 값싼 인건비와 규모의 경제를 앞세운 중국 기업의 국내 시장 진출이다.

실제로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입찰 당시 상한가격을 비공개하면서 사업자의 자유로운 경쟁을 유도했지만 업계 관계자들은 사실상 낮은 금액 순으로 낙찰한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중국은 풍력발전의 핵심 설비인 터빈분야에서 세계 풍력시장 공급망의 60%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 2021년 기준 풍력발전 설비 원가는 2010년 대비 35~40% 수준 감소했다. 

반면 우리 기자재 업체는 2000년대 중반부터 주요 부품 국산화를 추진해 왔으나 전기·에너지·자원인적자원개발위원회(ISC)에 따르면 우리 기업의 블리이드, 발전기, 변환기의 국산화율은 34% 수준이며 기술·가격 수준은 선진국 대비 60% 수준이다.

해상풍력은 먼 바다에 설치되는 만큼 에너지안보 차원에서도 촉각을 곤두세워야 할 부분으로 정책 인센티브와 함께 전문인력과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업 차원의 대응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