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도별 주유소 휴·폐업 수/한국석유유통협회 제공
연도별 주유소 휴·폐업 수/한국석유유통협회 제공

[투데이에너지 신영균 기자] 알뜰주유소 확대에 따른 가격경쟁력 상실과 유가 상승으로 인한 수요 감소, 최저임금 상승에 따른 비용상승 등으로 전국 일반주유소들의 경영난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휴·폐업 주유소가 증가 추세다. 주요 원인은 시장경쟁을 심화시킨 알뜰주유소다. 물론, 탈석유화가 진행되는 상황이고 주유소 수가 포화상태인 것도 주요 원인으로 꼽을 수 있다. 

지난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주유소 업종의 평균 영업이익률은 1.8%~2.2% 수준으로 전체 도소매 업종 중 최하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현실이다 보니 지난해 8월 기준 일반주유소는 2012년 대비 13.6% 감소했다. 이 기간 알뜰주유소는 52.8% 증가했다. 최근 전국 일반주유소 휴·폐업 추이를 보면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2,400개소가 휴업했고 1,000여 개소가 폐업했다.

심각한 문제는 전·폐업마저 쉽지 않다는 사실이다. 토양오염 복구 비용이 평균 1억5,000만원 정도 들어 일반주유소의 고민이 깊은 상황이다. 경영난으로 휴업한 사업자 입장에서는 감당하기가 힘든 비용이다.

이로 인해 무기한 방치된 주유소들이 증가하고 있다. 흉물 상태로 방치된 주유소들은 토양오염 등 환경 문제가 심각해지고 우범지역으로 전락하는 등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각 지자체도 고심이 깊다. 수도권은 그나마 부지 매매로 업종 전환이 가능한 편이나 지방은 매입자가 없고 철거비조차 마련하기 어렵다.

이에 주유소업계 관계자는 "정부와 지자체가 폐업 지원에 관한 제도나 세제, 금융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역설했다. 알뜰주유소에 대해서도 "국민 입장에서는 더 저렴한 가격에 기름을 살 수 있으나 이는 세금으로 지원되는 형태"라며 "10년이 지나 환경이 바뀐 제도라 원점부터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유소업계의 상생 방안 등 목소리에 정부와 지자체가 무반응인 상태라 마땅한 출구 전략이 보이지 않고 있다. 향후 전기, 수소차 등 친환경차 보급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 장기 휴업에 돌입하는 주유소들은 가파르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그 같은 상황에서 전·폐업을 하지 못해 흉물처럼 방치된 주유소가 증가하면 정부와 지자체도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