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기관리권역에서 실시간 변화하는 대기환경기준을 알려주는 전광판.
올해로 수도권대기환경개선에관한특별법 시행 후 5년차를 맞고 있는 가운데 수도권을 비롯한 대기관리권역에 대한 운행 경유차 대책 시행으로 인해 대기환경 개선이 많이 이뤄졌다는 평가다.

특히 고유가 시대로 인해 연료비 부담이 커지면서 LPG엔진개조사업이 힘을 받기 시작했지만 누적 개조대수 7만대가 넘는 경유차가 LPG엔진개조가 이뤄지는 등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LPG엔진개조사업 시행 초기에는 (주)이룸, (주)엑시언, (주)엔진텍 등 3개 업체였지만 한국엔엠텍을 비롯해 (주)일진전기 등 신규 LPG개조업체가 뛰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업체당 개조물량은 축소되는 아픔을 겪고 있다.

이 때문에 이룸 등 일부 LPG엔진개조업체는 열병합발전용 가스엔진을 장착한 극소형열병합발전시스템과 같은 신규사업분야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기 시작했다.

올해 가시적인 성과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 LPG하이브리드차의 개조사업도 추진하는 것은 물론 CNG자동차, 수소 자동차 등 대체 연료를 통한 자동차사업 분야로도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LPG엔진개조업체들의 이같은 움직임에는 감사원 지적에 따라 지난해 11월부터 지자체별 운행차 저공해화 관련 조례 시행전까지 지원대상 차량이 ‘수도권대기환경개선에관한특별법’ 제25조의 특정경유자동차 검사결과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한 차량으로 제한했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아도 연비 등의 문제로 인해 LPG엔진개조사업이 침체되고 있는 상태에서 LPG엔진개조대상 차량도 줄어들 것이라는 분석 때문에 사업을 다각화하거나 신규사업을 개발하지 않게 될 경우 LPG엔진개조업체들의 장기 발전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에 직면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기오염의 폐해는 하루 이틀에 걸쳐 나타나지 않고 오랜 세월이 경과되는 과정에서 사람들이 알지 못하는 사이에 일어나기 때문에 맑은 대기환경을 만들어 나가야하는 것은 시대적 사명일 뿐 아니라 미래에 대한 대책이다.

수도권 대기환경 개선 노력이 본격적으로 시행된지 5년을 맞게 되는 가운데 앞으로 운행 경유차 대책을 어떻게 발전시켜 나가야 할지에 대한 현실태와 문제점을 짚어보기로 한다.

국내 독자기술, 해외 활용방안 강구돼야
생존 위한 신규 사업 및 사업다각화 대세

△운행 경유차 대책 필요성

자동차 등록대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미세먼지 예방 등을 위해서는 신규 제작차에 대한 규제도 필요하지만 운행중인 경유차에 대한 대책도 필수적이다.

자동차 미세먼지 배출량의 70~80%를 경유차가 차지하는 가운데 둔화되기는 했으나 경유차 의 등록비율이 여전히 높은 상태다.

미세먼지를 일명 ‘소리없는 살인자’로 평가하는 상황에서 미세먼지 배출의 최대 주범이 자동차로 지목하고 있기 때문에 정부와 일부 지자체에서는 경유차의 도심진입 금지 방안 도입도 검토하고 있는 실정이다.

△운행 경유차 저공해化 사업

자동차 배출가스 기준이 대기환경보전법에 마련되면서 LPG엔진개조사업은 2003년부터 시작됐지만 법적인 틀에서 본격적으로 추진된 것은 2005년부터 이뤄졌다.

2014년까지 환경부는 매연여과장치(DPF)를 1조3,289억원의 예산을 들여 56만1,832대 부착하고 산화촉매장치(DOC)는 2010년까지 985억원을 투입해 23만5,550대를 부착할 계획이다.

또 2014년까지 3,406억원을 투입 16만6,582대의 저공해 LPG엔진개조사업을 진행한다.

LPG엔진개조사업은 2003년 135대의 노후 경유차를 LPG엔진개조에 시범적으로 추진하면서 2004년 450대, 2005년 2,202대, 지난해 당초 1만6,710대의 목표를 2만4,000대로 수정·확대했고 내년에는 2만732대, 2009년 1만6,681대, 2010년 1만4,764대, 2011년 1만4,093대, 2012년 1만4,387대, 2013년 1만5,157대, 2014년 1만3,173대를 계획하고 있다.

이처럼 DOC·DPF 부착 또는 LPG엔진개조사업을 통해 서울을 비롯한 주요 도시의 대기환경이 가시적으로 개선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 LPG차량에 용기를 장착하는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