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전 세계 ESCO(에너지절약전문기업) 시장이 무려 16조원에 달하지만 자원빈국인 우리나라의 시장규모가 1,000억원대에 불과하다는 것은 아이러니다. 더욱이 미국의 경우 ESCO 시장이 매년 22% 이상씩 성장하고 있고 중국도 33%씩 급성장하고 있는데 우리나라 시장은 지지부진한 이유에 대해 냉철한 분석이 필요하다.

국내 ESCO 정부지원 현황을 살펴보면 2001년 751억원이었던 것이 2002년 1,400억원으로 급격히 성장한 이후 지금까지 정체상황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ESCO 사업이 정체되고 있는 것은 에너지절약사업이 반드시 필요한 것이 아닌 충분조건이라는 뿌리깊은 인식에서다. 여력이 있을 경우 에너지절약사업은 충분히 추진할만하지만 어려운 여건에서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올해 국내 ESCO 시장 규모 1,950억원 중 70%가 정책자금 융자고 민간자금은 600억원에 불과하다는 현실이 이같은 인식을 반영한다.

물론 정부도 정부청사에 대한 ESCO사업을 올해 추진하고 향후 전 공공기관으로 확대하는 한편 포괄적인 에너지절약산업 발전방안을 7월까지 마련할 계획임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지원을 확대하기에 앞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에너지절약사업의 주체인 각 기업의 CEO, 건물주에 대한 인식의 변화다. 정책자금을 통한 에너지절약사업의 한계가 확연하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에너지절약사업에 소요되는 비용이 투자가 아니라 당연한 변화라고 느낄 때, 에너지절약사업이 ‘충분조건’이 아닌 ‘필요충분조건’이 될때 진정한 저탄소 녹색성장이 가능할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