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송용 연료를 둘러싼 환경이 급격하게 변하고 또 변화를 앞두고 있다. 

배기량 기준으로 부과되는 자동차세가 내년부터 연비 또는 CO₂배기량 기준으로 변경되는 것은 물론 1차와 2차에 걸쳐 휘발유와 경유, LPG의 상대가격이 100:85:50로 적용되는 에너지세제개편도 조정될 예정이다.

클린디젤을 앞세우고 있는 정유업계는 정제과정에서 생산되는 LPG가 모자라 수입을 하고 있는데 경유는 잉여분이 발생해 수출로 전환시키고 있어 이를 합리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수송용 LPG시장의 가장 큰 고객인 택시업계도 클린디젤에 관심을 표명하기 시작했다. 여기에다 국회에서도 클린디젤자동차 포럼 연구회가 구성돼 있어 정유업계의 든든한 후원자(?)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대 정부, 국회 등을 통해 정유업계가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다고 한다면 LPG업계는 너무나도 조용히 숨을 죽이고 LPG업계도 나름대로 준비를 하고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국민들이 변화될 정책에 대해 제대로 알고 그에 따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정중동을 할 것이 아니라 세미나, 토론회 등과 같은 다양한 채널을 통해 LPG를 제대로 알려야 한다.

정유사가 원유를 들여와 정제과정을 거쳐 생산된 석유제품이든, 국내 생산 LPG가 모자라 LPG수입사가 수입한 LPG든 대부분의 에너지가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에너지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환경 조성이 가장 급선무이고 그 다음이 경제성을 근거로 각 수송용 연료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내실있는 준비가 필요한 때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