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풍력산업협회는 회원사를 지원하고 우리나라 풍력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활동을 전개함으로써 저탄소 녹색성장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됐다.

초대 회장에 선출된 이임택 회장은 지경부의 해상풍력 로드맵 발표를 앞두고 국내 풍력산업 발전을 위해 매진하고 있다.

한신에너지 회장 및 한라풍력 대표이사를 역임하고 있는 이 회장을 만나 국내 풍력시장 동향 및 발전방안에 대해 들어봤다. /편집자주

△협회의 업무추진 방향은

한국풍력산업협회는 우리나라 풍력산업계의 현안과 과제를 수렴해 대안을 수립하고 이를 법, 제도 및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이는 한편 협회 회원사에 다양한 국내외 정보를 적기에 전달하고 국내외 시장 진출을 위한 각종 활동을 지원함으로써 풍력산업을 활성화하는데 방향을 맞춰 업무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풍력발전사업의 사업성 확보, 정책적 지원의 확대, 사업자금 조달의 원활화, 발전사업 인허가의 용이화, 계통연계 지원이라는 판단 하에 이 과제에 대한 업계의 의견이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

△국내 풍력발전시장 현황은

전 세계 풍력설비 용량은 2001년 이후 매년 31.7%씩 증가해 2009년 현재 약 159GW에 달하고 있으며 2009년 한 해에만 38GW가 신규로 설치됐다.

우리나라 풍력산업은 2000년 초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해 왔지만 설비용량은 세계 28위인 0.34GW에 불과해 녹색성장의 기치를 세계 중심에 내세우기에는 너무나 미약한 수준이다. 그러나 풍력발전설비의 제조기술력 측면에서 보면 타워, 메인샤프트 등 일부 풍력설비부품의 제작기술은 이미 국제경쟁력을 확보해 세계적 풍력발전시스템 제조업체인 Vestas, Siemens, GE 등에 납품하고 있다. 지난해 수출액은 7억2,000만달러를 기록했으며 올해에는 13억달러 정도의 성과를 올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풍력에너지의 장점은

풍력은 세계적으로 연간 설비증설 용량이 1997년 이후부터 원자력을 능가하고 있으며 유럽에서는 2008년부터 석탄, 화력에 이어 가스전소 복합발전설비의 용량을 능가하고 있다.

풍력에너지는 CO₂ 감축에 효과적이며 고용창출 측면에서도 타 재생에너지원에 비해 유리하다. 또한 태양광발전의 경우와 달리 부지를 농장이나 목장으로 겸용할 수 있으며 기술발전으로 설비 단위용량이 대형화되면서 소음도 현격히 줄어들었다.

특히 해상풍력은 그 잠재력이 무궁무진하며 규모 증가와 성장속도도 눈부시다. 해상풍력은 용지 확보가 쉽고 육지보다 지속적이고 강한 바람을 얻을 수 있으며 육상풍력에 비해 고속화, 대형화가 가능하고 소음 문제로부터 자유롭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풍력설비의 국산화가 미진한데

국산화 풍력발전설비의 국내 보급 확대를 위한 가장 시급한 과제는 국산화 개발 설비의 ‘실적’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의 R&D지원과 병행해 실증단지의 제공 및 설비의 국제인증 획득 등에 대한 지원이 절실하다.

이와 함께 국내 시스템 제조업체는 기술개발 및 원가절감을 통해 외국 업체에 대한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풍력발전사업자와 합작투자를 함으로써 리스크를 상호 분담하는 체제를 구축하고 신뢰도의 후비보호 수단으로 특수 목적의 보험이나 공제제도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2012년부터 RPS가 도입되는데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RPS: Renewable Portfolio Standard)제도를 도입함으로써 신재생에너지사업 활성화의 가장 기본조건이 되는 보급 확대 및 사업성 보장의 기반을 조성했다.

2012년부터 RPS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되면 풍력을 포함한 신재생에너지의 보급은 대폭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에 정부의 실질적인 지원정책, 관련기업의 적극적인 투자와 기술개발이 병행된다면 우리나라 풍력산업도 조선 및 중공업산업과 시너지를 창출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 30, 50년 후에는 신재생에너지가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것이 확실시 되는 현 시점에서 RPS제도 도입은 시의적절한 것으로 보이며 이 제도를 통해 우리나라도 유럽이나 미국, 중국과 마찬가지로 신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자립과 수출 증대 기반이 조성됐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국산 풍력발전설비의 보급 확대를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풍력설비가 국산화되지 않는다면 신재생에너지가 보급, 확대 되더라도 우리나라 제품이 국내 공급이나 수출로 연결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외에도 우리나라의 풍력발전사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자금 조달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돼야 하며 ‘One Stop Service’에 의한 풍력사업 인허가가 이뤄져야 한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