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정유사와 일부 석유화학사간에 뜨겁게 달아올랐던 부생 LPG직판문제가 한풀 꺾일 기세를 보이고 있다.

관계자에 따르면 석유화학사의 부생 LPG판매는 석유사업법 부산물판매업허가등록에 근거해 아무런 하자가 없고, 수입대체 효과가 커 국익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또 궁극적으로는 LPG유통구조의 다변화를 가져와 소비자 입장에선 합리적 가격과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5면)

수입·정유사와 석화사는 이번 부생 LPG직판문제와 관련해서 최대한 서로를 자극하지 않겠다는 내부 방침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입사의 한 관계자는 “석유화학사의 부생 LPG직판은 극히 지엽적인 문제로 기존의 LPG유통구조를 통째로 흔들만큼 심각한 것은 아니며, 일부에서 우려하는 만큼 양사간의 갈등도 심화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석유화학사의 한 관계자도 “부생 LPG물량은 모두 합해봐야 연간 5만톤을 넘지 않으며, 이는 전체 LPG물량의 1∼2%에 불과한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이같은 분위기와는 달리 ‘폴사인’ 등의 문제로 부생 LPG 판매 초기부터 불거진 양사간의 앙금이 쉽게 해소되긴 어려울 전망이다.

수입·정유사는 일단 석유화학사의 부생 LPG물량이 소량이고 극히 일부 지역의 지엽적인 문제임을 감안해 노골적인 충전소 빼가기만 가시화되지 않으면, 정면 대응은 피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상도의(商道義)에 어긋난 지나친 가격할인등 덤핑을 통한 사업영역 확대시에는 부생 LPG의 품질문제와 공정거래법 등을 들어 강력한 대응조치를 강구하겠다는 입장이다.

석유화학사 역시 수입·정유사가 기존 LPG유통구조상의 기득권을 내세워 불공정 행위나 부생 LPG의 품질보증을 문제삼을 경우, 이에 대한 적절하고 합리적인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이다.

한편 수입·정유사의 석화사 부생 LPG구매 문제가 현재 양사 실무자들을 통해 긴밀히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이미 물꼬를 튼 석유화학사의 부생 LPG 자동차충전소 직판을 잠재우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고영규 기자>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