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저장(ESS)시스템 개념도.
[투데이에너지 송명규 기자]ESS는 경부하시 유휴전력을 저장하고 과부하시 전력을 사용함으로써 첨두부하 분산을 통해 발전소 건설비, 송전선 설치비 등의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 예비율을 높여 여름·겨울철의 전력 피크와 대규모 정전 사고에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한 산업이다.

출력이 불규칙한 신재생에너지원을 고품질 전력으로 변환하는 등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산과 실시간 전력 거래가 이뤄지는 스마트그리드 구현을 위해서도 필요한 기술이다.

정부는 우선 에너지저장 R&D 투자 확대 및 전략성 강화를 위해 2020년까지 총 6조4,000억원 규모의 R&D 및 설비 투자를 진행한다. 단기적으로는 상용화 R&D 및 실증, 중장기적으로는 원천기술 개발 지원에 중점을 두고 진행한다.

에너지저장 실증을 통한 산업화 촉진을 위해 제주도 조천 154kV 변전소에 테스트베드를 구축해 총 8MW 규모의 파일럿 실증(2014년까지 300억원 규모)을 추진하고 2015년 이후에는 345kV 이상의 변전소에 수십MW 규모의 실증을 추진해 보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 ESS 테스트베드 구축 계획안.

세부적으로 발전원 연계형 실증을 위해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소에 ESS를 설치하는 실증사업을 추진하고 중장기적으로는 기존의 양수발전을 대체하는 수백MW급 ESS 실증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그린홈 100만호 보급 사업 등과 같은 주택·건물에 신재생에너지를 보급하는 사업과 연계해 실증을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정부는 국내 ESS 실증·보급 확산을 위해 민관 공동으로 ‘ESS 실증·보급 추진위원회’를 구성해 중장기 보급 계획 및 실증 세부 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이를 지원할 실무조직인 ‘ESS 실증·보급 추진단’을 에너지기술평가원 내에 설치한다.

정부는 시험·실증단계를 진행하면서 ESS의 안전성·신뢰성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과 장비 구축을 지원(3년간 120억원 규모)하고 ESS인증에 관한 사항을 관련 규정에 반영해 인증기관을 지정하는 등 제도적 기반을 강화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업체의 인증비용 최소화 및 수출 기반을 강화할 수 있는 국제인증기관을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산ㆍ학 연구소에 대한 지원도 강화돼 △원천상용화 △공정ㆍ양산 △부품소재 국산화  △시스템 운영 △금형 기술 △전력 계통연계 △PMS 등 새로운 방식의 원천기술 및 부품소재 개발을 10년간 중장기적으로 지원한다.

정부는 ESS 국내시장 활성화와 산업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 조성을 위해 ESS시스템 보급을 적극 확대한다. 이를 위해 주택 등에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와 함께 ESS를 설치할 경우 RPS 공급인증서 발급, 설치보조금 지급 등 많은 혜택을 부여할 계획이다.

향후 전력망에 ESS를 실증·보급하기 위한 중장기 계획인 K-ESS 로드맵을 수립함과 동시에 전기사업법 등 관련 규정에 ESS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사항을 반영될 수 있도록 규정을 정비해나갈 방침이다.

ESS보급을 위해 사업자가 주택 또는 건물에 ESS를 대신 설치해주고 이를 통해 절감되는 전기요금 중 일부를 회수해 이익을 창출하는 ESS서비스 사업도 추진된다.

정부는 출력이 불안정한 신재생에너지 비율이 확대돼 전체 전력망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일정 규모 이상의 전력회사, 발전회사를 대상으로 전기 공급량의 일정비율만큼 ESS 설치를 의무화하는 방안도 검토해나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