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대인 기자
[투데이에너지 조대인 기자]  미국과 유럽지역의 재정위기가 실물경제로 전이될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이 때문에 청와대와 정부는 위기관리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비상경제체제를 가동하는 등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이런 우려는 석유와 LPG 등 국내 에너지 산업에도 예외 없이 적용되고 있다. 요동치고 있는 환율이 대표적이라 할 것이다.

글로벌 경기침체 국면이 국제유가와 LPG수입가격을 떨어 뜨려 이들 가격의 인하 가능성을 높여주지만 환율이 발목을 잡고 있기 때문이다.

석유와 LPG 등 에너지가격의 변동성이 그만큼 높아지게 된 셈이다.

대부분의 에너지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환율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지만 수출에 의존하는 국내 산업을 고려할 때에는 긍정적 효과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이달부터 많은 에너지의 소비가 늘어나는 시기로 접어들게 돼 에너지 소비에 따른 비용부담이 본격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우리 국민들은 환율과 수입되는 에너지가격에 따라 등락하는 가격변화를 이해하지 않고 국제LPG가격이 떨어졌는데 또는 환율이 올랐는데 등 한 가지 측면에서만 접근하는 사례가 적지 않아 오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국민 경제적 측면에서 생각할 때 가격은 저렴하면 좋지만 너무 저렴할 경우 소비를 부추길 우려가 적지 않아 이를 적정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적지 않다.

정부의 물가안정 정책에 협력하고 LPG가격 인상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민감한 시기가 다가와 LPG공급사의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물가안정과 LPG와 석유 등 에너지 소비자들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묘수는 정말 없는지 궁금증만 커진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