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조대인 기자] 28년 이상 경과된 LPG용기를 지난 6월부터 폐기해야 되는 LPG용기 사용연한제로 인해 LPG용기관리가 애물단지가 되고 있다.

충전ㆍ판매 등 LPG업계 지도부가 수차례에 걸쳐 폐기 LPG용기 처리 문제에 대한 논의를 통해 총체적인 추진방향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합의점을 도출했지만 구체적인 시행방안 마련이 아직도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부산, 광주 등 일부 지역에서는 LPG판매업계가 최대 kg당 45원 가량의 가격할인을 받고 용기관리를 맡기로 한 곳도 있지만 지금도 LPG용기관리비 부담이 적지 않은데다 폐기 LPG용기관리까지 맡게 될 경우 앞으로 LPG판매에 따른 이익의 상당부분을 용기관리비로 충당하게 될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어느 정도 윤곽이 잡혔던 LPG용기관리 주체와 비용부담 문제가 원점에서 다시 논의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현행 액법상 용기관리와 이에 따른 비용부담 주체가 불분명한 것도 이같은 논란의 근거가 되고 있다. 원래 용기관리와 이에 대한 소요 비용은 충전소의 부담이었으나 몇 해 전 액법 개정으로 충전소 또는 판매소가 용기관리와 여기에 들어가는 비용을 협의해 정할 수 있도록 된 뒤 지금은 아예 근거 규정조차도 없어져 버린 상태이기 때문이다.

특히 LPG용기는 충전ㆍ판매 등 LPG공급자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이 함께 소유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소비자나 LPG공급자는 가스를 다 쓰고 난 뒤 다른 LPG용기를 공급받는 구조여서 애써 용기관리를 철저히 하지 않고 있는 것도 용기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비용 부담도 늘어나는데 빌미를 주는 원인이 되고 있다.

LPG판매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물량 유치를 위한 충전소간 경쟁도 용기관리를 회피하게 만드는데 상당한 역할을 하고 있다.

취급 물량이 많은 LPG판매소를 유치하기 위해 충전소가 선택할 수 있는 가장 손쉬운 방법이 가격할인이기 때문에 지금까지 LPG판매에 따른 충전소 이익은 줄어든 반면 LPG판매소 이익은 늘어났고 폐기 LPG용기관리 비용부담이 LPG업계의 무거운 짐이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때문에 LPG용기관리를 가급적 맡지 않는 것이 수익적 측면에서 충전소나 판매소 모두 유리해 LPG용기 관리가 LPG업계의 골칫거리로 등장하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LPG용기관리는 충전소에서 맡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LPG충전 시 미검 여부는 물론 스커트 또는 프로텍터 등 용기 상태에 따라 가스를 충전한 후 소비자에게 이를 판매하는 것이 합리적이기 때문이다.

특히 LPG사용량이 많아지는 동절기에 생산된지 20년 이상된 노후 용기 또는 용기 검사주기 도래가 임박한 용기에 LPG를 충전해 공급하게 될 경우 소비자 민원 대상이 되는 것은 물론 핀홀 발생 등에 따른 가스사고로 연결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판매소별로 검사 예정 용기를 회수하는 것은 물론 용기 상태에 따른 등급분류를 할 수 있는 여유공간이 거의 없기 때문에 오히려 검사 및 용기 회수비용을 높이는 결과를 초래하게 될 위험에 빠지게 된다. 

결국 용기검사는 LPG소비자는 물론 공급자에게 가스안전을 확보하게 하는 첫 단추이지만 비용부담 문제와 효율적인 관리방안이 제대로 마련될 수 있도록 업계 자체적인 노력도 이뤄져야 하겠지만 정부에서도 이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실정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