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강은철 기자] 김정관 지식경제부 차관은 18~19일 이틀간 파리 OECD 컨퍼런스센터에서 개최되는 ‘2011년 IEA 각료이사회(The 2011 IEA Governing Board at the Ministerial Meeting)’에 참석해 “일본 원전사고를 계기로 한국은 ‘원자력 안전’ 최우선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각료이사회는 28개 IEA 회원국 외에 중국, 인도, 러시아 등 10대 에너지소비국 에너지 장·차관이 모두 참석한 가운데 개최다. 리비아 사태에 대응해 IEA회원국이 공동으로 비축유를 방출(6월23일)한 사례를 평가하고 포스트 후쿠시마(post Fukushima)시대의 원자력에너지와 가스, 신재생에너지시장 전망 등을 논의하고 있다.

IEA는 세계 산유국 모임인 OPEC에 대응해 석유 다소비 28개국이 모인 다자협의체(1974년 11월 설립)로 석유공급교란에 대응한 국제공조 및 중장기 에너지전망과 회원국간 정책 공조방안을 협의하고 있다.

지난 6월 IEA는 리비아사태와 OPEC의 증산합의 실패로 인한 석유시장의 계절적 수급불균형에 대응해 12개 회원국의 비축유 방출을 시행했다. 우리나라와 미국, 일본, 프랑스 등 IEA 12개 회원국은 리비아 사태로 인한 석유수급의 계절적 불균형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지난 6월23일 비축유 5,000만배럴을 방출했다.

또한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비전통가스 생산 증가로 가격경쟁력을 확보한 가스발전이 원자력발전을 대체할 경우 온실가스 감축이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것을 우려하는 보고서를 내놓은 바 있다.

김정관 차관은 6월 IEA의 ‘리비아 공동대응’을 평가하면서 “석유 공급의 잠재적 교란가능성과 유가 불안에 대응해 비축유를 방출한 의미있는 시도였다”고 평가했으며 “신흥국의 경제성장에 따른 수송용 석유수요는 꾸준히 증가하는 반면 산유국의 지역적 편중과 이들 지역의 정치적 불안은 석유공급에 여전히 위협적인 요소”라고 지적했다.

특히 김 차관은 중국, 인도 등 IEA 비회원국과의 협력과 석유 E&P(Exploration & Production)에서 첨단 기술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할 예정이며 일본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자력발전에 대한 우려에 대해 “원자력에너지는 신재생에너지가 경제성을 갖추기까지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온실가스를 감축시키는 차선의 대안”이라며 “일본 원전사고를 계기로 한국은 ‘원자력 안전’ 최우선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각료이사회에 참석한 각국 에너지장관들은 국가간 상호의존성이 높아지고 미래 에너지환경은 예측불가능해 어느 국가도 에너지안보를 독립적으로 담보할 수 없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에너지시장의 투명성 증진과 비회원국과의 협력으로 에너지안보를 증진시키고 신재생·원자력 등 저탄소 에너지 개발을 통해 에너지공급을 다변화하는 데 공동으로 노력할 것을 다짐할 예정이다.

IEA 각료이사회의 논의 결과는 19일 IEA 홈페이지(www.iea.org)에 각료이사회 ‘장관회의 결론(Minister’s Conclusion)’으로 공개된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