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강은철 기자] 우리나라와 일본이 에너지정책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지식경제부는 24일 ‘제16차 한-일 에너지정책실무협의회’를 개최하고 양국 에너지정책 및 전력절약대책 등 최근 정책동향과 신재생에너지·CCS부문 등에서 양국 협력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실무협의회는 1986년부터 정례적으로 양국을 순회하며 개최되는 국장급 정책협력회의로 올해는 변종립 기후변화에너지자원개발정책관과 아사히 히로시(ASIHI Hiroshi) 자원에너지청 차장을 수석대표로 양국 대표단 20여명이 참석했다.

우리나라는 2012년부터 신재생에너지의무할당제도(RPS)를 도입하고 10대 그린프로젝트, 햇살가득홈 프로젝트 등을 통해 신재생에너지를 2030년까지 11% 보급하려는 목표를 소개했다.

또한 후쿠시마사태를 계기로 ‘원자력안전위원회’ 출범 등 안전을 최우선시하는 정책방향을 소개하고 한·중·일 원전안전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일본은 자국 내 원전사고 후 여름철 전력수급 차질에 대비해 시행한 에너지절약대책의 추진목표(15% 전력수요감축) 및 성과를 소개하고 부문별 절전수단과 대국민 홍보사례 등을 발표했다.

또한 2020년까지 CCS 응용기술을 개발해 2030년 화력발전소 적용을 검토하려는 일본의 CCS 정책목표를 소개하고 관련실증사업 추진동향을 발표했다.

특히 CCS는 화석연료를 사용하면서 온실가스를 감축시킬 수 있는 핵심기술로 CO₂저장기술 등 R&D분야와 법·제도부문에서 양국협력의 필요성이 논의됐다.

변종립 기후변화에너지자원개발정책관은 “한·일 양국 모두 해외 에너지의존도가 높고 제조업의 발달로 산업부문 에너지소비가 크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어 에너지 정책환경과 목표가 유사하다”라며 “에너지안보와 자원개발, 기후변화 대응 및 저탄소 에너지기술협력 등 다방면에서 양국간 협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 CCS(Carbon Capture and Storage)는 CO₂포집 및 저장기술로 화석연료의 연소 및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CO₂를 대기 중에 방출하지 않고 포집, 회수해 격리하는 기술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