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하반기부터는 심야전력 공급시간 자동제어장치(통전제어장치)를 부착한 심야전력기기만이 유통된다. 한국전력공사가 이를 골자로 한 심야기기 인정 및 사후관리 기준을 개정, 하반기부터 적용키로 했기 때문이다.

이는 심야전력 요금이 산정되기 시작하는 오후 10시부터 12시까지에 그 수요가 폭증하는 것을 대비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 자동제어장치의 부착을 통해 보다 원할한 심야전력을 공급할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 통전제어장치를 부착해야 한다는 기준은 심야전력기기 업체에게는 커다란 짐으로 다가올 수 있다. 통전제어장치 의 부착은 곧 새로운 비용을 발생케 해 제조원가 상승요인으로 작용하게 되기 때문이다. 갖가지 지원제도 철폐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심야전력기기 업체에 신규 비용이 발생한다는 것은 크나큰 타격이 아닐 수 없다.

또한 통전제어장치는 현재 그 기준만 만들어진 상태이다. 그런데 이를 부착하라는 것은 곧 이를 적용시키기 위한 기술력을 스스로 갖춰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보일러만 만들던 군소업체들에게 이 통전제어장치는 다소 생소한 기술로 받아 들여질 수 있다. 이에 이 제도의 도입은 심야전력기기 산업에 뛰어들었던 군소업체들을 자연히 도태시키고 자본력과 기술력을 겸비한 대형 업체 중심으로 업계를 재편하기 위한 의도가 숨어있다고 볼 수 있다.

한 때 심야전력기기는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평가받을 정도로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이렇게 증가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무엇보다도 심야전력 요금이 일반요금의 1/4 수준에 불과하다는 것 때문이었다.

또한 최근 몇 년간 고유가 기조가 이어졌다는 것도 심야전력기기의 눈부신 성장에 매우 큰 영향을 줬다. 뿐만 아니라 한전이 추진해온 심야전력기기 지원제도도 한 몫 했다.

그런데 갖가지 지원제도들이 차례차례 없어졌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심야전력기기의 폭증을 예상치 못한 한전이 이를 감당치 못하고 서둘러 지원제도를 철폐했다고 보고 있다.

또한 이에 대한 책임을 업계에게 전가하고 심야전력 공급에 대한 미봉책으로 통전제어장치 보급 등을 내놓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심야전력기기 시장이 비대해 짐으로 인해 업계의 부작용이 많았던 것도 사실이다. 그렇다고 할 경우 한전의 지원제도 철폐, 통전제어장치의 보급은 보다 건전한 업계 풍토를 만드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조갑준 기자 kjcho@enn.co.kr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