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카와 다케오 히토츠바시대학 교수
[투데이에너지 이종수 기자] “후쿠시마 원전 사태 이후 일본의 에너지믹스 정책이 아직 결정된 것은 없지만 앞으로 LNG복합화력발전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일본 정부는 2030년 전기요금이 2010년대비 약 70%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데 이는 LNG가격이 유가연동 방식으로 결정되고 유가는 계속 오를 것이라는 근거에 따른 것입니다. 이러한 점에서 LNG가격의 유가 연동  탈피가 중요합니다.”

기카와 다케오 히토츠바시대학 대학원 상학연구과 교수는 지난 9일 라마다호텔 & 스위트 서울에서 아시아엘엔지허브(주)가 개최한 전문지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기카와 다케오 교수에 따르면 올해 일본 경제의 큰 리스크 요인에는 전력요금 인상문제가 있다. 지난 3월11일 이후 원자력발전소 운전정지에 따른 화력발전 연료비용의 급상승에 의해 전국 10개 전력회사 중 5~6개사가 가격인상을 강요당하고 있다. 특히 대폭적인 전력요금 인상이 장기간에 걸쳐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기카와 교수는 “미국에서 일어난 셰일가스 혁명을 근거로 천연가스를 저렴하게 조달하는 것이 결정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라며 “일본기업이 지금까지 셰일가스에서 나온 LNG 수입에 성공하지 못한 이유 중 하나는 일괄대량구매능력이 결여돼 있다는 점”이라고 밝혔다.

그는 “여기서 주목할 점은 한국의 경우 최근까지 한국가스공사가 전력회사 및 여타 가스회사의 몫까지 포함해서 필요한 LNG를 일괄적으로 대량 구매했다는 점”이라며 “일본의 전력회사 및 가스회사는 미국의 가스전 및 LNG기지에 직접 가서 힘을 합쳐 효과적인 일괄대량구매를 실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기카와 교수는 “천연가스의 일괄대량구매에 성과를 올려온 한국은 일본보다 약간 저렴한 수준으로 LNG 조달을 실현하고 있지만 거시적으로 보면 일본과 한국은 구미에 비해 훨씬 고가의 천연가스를 수입하고 있다는 점은 변함이 없다”라며 “이른바 아시아 프리미엄 문제”라고 밝혔다.

그는 “세계 최대의 LNG 수입국은 일본이고 그 다음이 한국인데 동북아시아 천연가스 거래에 있어서 한일 양국이 협력해 바잉파워를 움직인다면 LNG 조달가격의 인하는 결코 어려운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기카와 교수에 따르면 2011년 LNG 수입은 일본이 7,910만톤, 한국이 3,560만톤이다. 이 중 스팟거래 또는 단기계약에 의한 수입은 일본이 1,600만톤, 한국이 1,070만톤으로 스팟거래 또는 단기계약 비율은 일본이 20.2%, 한국이 30.1%에 이른다.

일본이나 한국에 비하면 아직 수입량은 적지만 최근 들어 LNG 수입을 급속히 확대하고 있는 대만과 중국도 스팟거래 또는 단기계약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이러한 상황에 발맞춰 동북아 LNG 스팟시장을 창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는 일본 경제산업성이 지향하는 LNG선물시장 개설과도 방향성이 일치한다는 게 기카와 교수의 설명이다.  

기카와 교수는 “LNG 수입대국인 일본과 한국이 손을 잡고 바잉파워를 발휘하고 동북아 LNG 스팟시장을 창설하면 아시아 프리미엄 문제가 해소될 것”이라며 “이를 위해서는 LNG 허브 터미널이 필요하며 동북아시아에서 LNG를 유럽수준의 가격으로 거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기업인 아시아엘엔지허브는 부산진해자유경제특구 웅동지구를 아시아 LNG허브 터미널 건설 후보지로 선정하고 이를 실현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