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창구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육성실장
[투데이에너지] “풍력인증체계가 세계시장에서 분야별 국내기업들의 경쟁력과 인지도를 높일 수 있도록 기반을 구축하는 데 주력했습니다”

김창구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육성실장은 국내 대형풍력 인증기반 구축 과정에서 가장 주력했던 부분에 대해 이렇게 설명했다.

김창구 실장은 국내 대형풍력 인증기관 선정 과정에서 국내기관과 해외기관을 함께 선정한 이유에 대해 “2012년 11월 말 인증체계 확정이전 국내 인증체계 수립과 관련된 논의를 진행했다”라며 “국내인증 시행으로 인한 산업계의 부담이나 지원과 관련된 사항은 물론 설계평가기관, 성능검사기관의 경쟁력 강화 방안도 고민했지만 마땅한 대안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김 실장은 또한 “현재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국내 유수의 기업들이 해외기업의 기술을 도입한 것이 시작이었던 점에 착안해 우리 대형풍력인증에 벤치마킹을 하면 어떨까 검토했다”라며 “그 결과 국내기업은 물론 국내 설계평가기관, 성능검사기관에도 많은 도움이 된다는 확신을 가지고 해외기관들도 국내 인증제도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고 덧붙였다.

김 실장은 대형풍력 인증기관 수립이 최근 전력부족 사태 등으로 인해 향후 신재생에너지의 안정적인 공급이 중요한 사안이 되는 시점에서 국내 풍력산업의 효율성과 안정성 확보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했다.

김 실장은 “대형풍력 국내 인증제도의 실시는 국내에 설치되는 풍력발전기가 더욱 더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운영이 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또한 “단기적으로는 국내 풍력 제조업체들에게는 다소 짐이 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국내 시스템업체뿐만 아니라 부품 제조업체들에게도 인증 기술기준의 점진적인 상향, 중소·중견기업의 지원을 통해 국내 풍력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 실장은 또한 “국내 인증제도는 인증을 받아야 하는 의무만 있는 것이 아니고 각종 국내 보급사업, RPS제도에 참여와 관련 지원제도가 연결돼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김 실장은 국내 대형풍력 인증기반 체계 구축 과정에서 가장 어려웠던 점으로 무조건 해외 풍력선진국을 그대로 따라가야 한다는 일부의 편향적인 시선을 꼽았다.

김 실장은 “신재생에너지 설비인증제도는 정책적인 측면을 많이 고려해 국내 산업 기술수준, 국내기관의 수준 등을 점검해나가며 수립해야 하는 것”이라며 “그런데도 현재 풍력산업은 국가정책 주도가 적합한 시기인데 정책적인 검토이나 국내 상황에 대한 고려없이 단순히 시장주도적인 해외의 제도를 답습하자는 의견과 요구가 많았던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김 실장은 특히 “실적이 없는 국내 인증기관은 이용하지 않겠다던 국내기업들도 센터가 그들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도록 노력하고 애로사항을 청취한 결과 국내인증기관 체계 구축에 어떤 점이 필요한지 확실하게 방향을 잡아갈 수 있도록 적극 협조했다”고 덧붙였다.

김 실장은 이번 국내 인증체계 수립과정에서 가장 크게 비중을 둔 점에 대해 “해외기관의 경우에는 기관 자체의 능력뿐만 아니라 국내기관지원항목에 대한 배점을 가장 높게 배정을 했다”라며 “해외기관이 국내 인증제도에 참여하는 대신 국내 제조업체와 국내 설계평가기관 및 성능검사기관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기본적인 조건이었다”고 설명했다.

김 실장은 또한 UL이 선정된 이유에 대해 “풍력업체에서는 생소하지만 지난해 DEWI-OCC와 DEWI를 인수한 곳으로 유수의 다른 기관보다 국내 기관에 대한 지원 및 수수료 부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라며  “우선 설계평가와 성능검사를 수행하는 동안 모든 과정 및 자료를 약 5회 정도 국내 기관에게 공개하고 특정 사안에 대해서 교육을 지원하기로 했으며 지난달 8일에는 풍력분야뿐만 아니라 에너지분야 전반까지 분야를 확장하는 추가적인 협약을 실시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