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송명규 기자] 2020년까지 10GW 규모 설치가 목표인 독일의 해상풍력산업이 관련기업들간의 불협화음 등으로 인한 투자 축소와 프로젝트 지연이 잇따라 목표량 달성이 어려울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KOTRA가 제공한 해외 투자정보에 따르면 독일 정부는 2022년까지 원전 사용을 중단하고 신재생에너지를 통한 에너지 공급을 2020년까지 35%, 2050년까지 80%로 보편화할 계획인 가운데 해상풍력이 신재생에너지 전환 정책의 중요 요소로 인식되는 상황이다.

반면 정부가 2020년까지 해상풍력 총 10GW 규모 설치를 목표로 하고 있지만 현지 시장조사기관은 현재 진행상황을 고려해 많아야 7GW 규모를 설치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영국 런던어레이 해상풍력단지가 연안으로부터 20km 이하로 조성된 데 비해 독일은 30~80km, 심한 곳은 200km 이상 떨어진 곳이 많아 깊은 수심으로 인한 위험성 발생, 설치선 이동거리로 인한 높은 비용의 부담이 큰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북해 및 발트해 연안을 중심으로 한 독일 해상풍력단지는 대부분 연안에서 30~60km 이상 떨어진 해상에 설치되지 않으면 자연경관 및 생태계 훼손 등의 이유로 독일 당국의 인허가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풍력기업과 송전망기업간 불협화음도 향후 독일 해상풍력발전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KOTRA에 따르면 풍력단지 건설은 대부분 투자가, 설치기업, 송전망 회사간 협력으로 이뤄져 세 파트너간 조율이 설치 완료기간을 좌우한다. 그러나 북해에서 진행 중인 노드시OST 풍력단지의 경우 송전망 설치 문제로 완공목표가 2014년으로 2년 지연됐다. 특히 풍력설치기업과 송전망기업간 서로 책임을 전가하는데 급급해 투자가들이 등을 돌린 상황이다.

이런 프로젝트 지연 문제가 곳곳에서 발생하면서 업계에서는 정부의 발전차액지원 정책 연장을 통한 안정적 투자유치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풍력발전기 제조업체와 부품업체의 매출 및 일자리 확대에도 영향을 줘 수주부진으로 인한 어려움이 산업전체로 확산될 위험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독일 정부는 신재생에너지를 통한 난방이 전체 소비의 15%가 되도록 의무화하고 송전망 사업자와 소비자의 분담금 납부를 의무화해 고질병인 송전망 설비 문제를 해결해나가고 있다. 이를 통해 투자자들의 불안을 불식시킨다는 목표다.

KOTRA는 독일 정부가 해상풍력 투자자 이탈을 막기 위한 전력망 투자자 보호 관련 법안을 마련하고 있으며 신재생에너지 우선구매제도 유지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 올해 1.4GW의 추가 발전량을 확보할 것으로 전망했다. 장기적으로 인프라가 잘 구축되고 정비 지원이 꾸준해 송전망 연결이 안정권에 들 경우 충분히 시장가치가 높다고도 분석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