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장묵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전략기획본부장
[투데이에너지 강은철 기자] “에너지업계 주요이슈인 수요관리, 블랙아웃, 기후변화를 비롯해 신정부 아젠다인 중소기업 육성 등 에너지기술 패러다임 변화에 맞춰 R&D 추진체계 개편을 준비 중이며 기획평가관리 프로세스 개선 및 R&D인프라 개선을 포함한 전략수립과 전문가위원회 검토를 9월 말 개편안이 최종 확정됩니다”

이는 신정부 출범과 함께 산업자원통상부가 R&D기능을 통합하면서 그동안 2차관 소속이던 에너지R&D분야가 1차관으로 옮김에 따라 에너지정책과의 연계성이 떨어진다는 우려가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이 에너지기술 패러다임 변화에 맞춘 R&D체계 개편 필요성에 대해 원장묵 에너지기술평가원 전략기획본부장은 설명했다.

원 본부장은 “그동안 효율향상자원, 신재생에너지, 전력, 원자력 등 4개의 투자포트폴리오로 운영됐지만 어느 쪽에 투자를 집중할 것인지는 미약했다”라며 “1차관으로 옮겨가면서 에너지 전반적인 시장분석, 국내 기술역량, R&D투자코스트(효율성) 등을 고려해 각 사업부별 투자포트폴리오를 정해야 할 시기”라고 강조했다.

에기평은 에너지안보, 온실가스 감축, 일자리 창출, 경제적 효과 등을 고려해 R&D 소요예산, 기술개발 우선순위를 도출해 정해진 예산한도 안에서 에너지정책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R&D투자금액 및 세부기술 우선순위 가이드라인을 정하고 있다.

기획프로세스와 함께 주목받고 있는 것이 ‘에너지기술 중장기 전략로드맵’ 구축이다. 특히 국가 R&D전략 기반의 가격, 성능목표 등 지표·정책방향을 제시할 비전로드맵(Vision Roadmap)에 관심이 높다.

원 본부장은 “국가 에너지기술 마일스톤 제시로 민간의 창의적 R&D방법론을 유도하는 것이 비전로드맵”이라며 “세부기술에 국한되지 않는 중장기 R&D 목표를 설정해 최적의 기술개발 전략 선정을 유도해 국가 R&D 효율성·창의성을 제고하게 된다”고 밝혔다.

다시 말해 그동안 태양전지의 경우 결정질실리콘, 실리콘박막, CIGS 등 기술별 계획만 제시해 시장변화에 대한 대응이 미흡했지만 정책목표달성, 시장진입 등을 위한 용도별 중장기 R&D 마일스톤을 제시해 이를 위한 최적기술 개발을 유도하는 것이다.

지난 2011년 △15대 그린에너지기술 △15대 온실가스 감축기술 △8대 자원기술 등 3대 에너지기술과 지난해 △방폐관리 △바이오 △폐기물 △자원순환기술 등의 전략로드맵을 구축한 바 있는 에기평은 이 일환으로 에너지기술분야별, 기술별 세부 마일스톤이 포함된 추가적인 전략로드맵 구축을 추진 중이다.

이와 함께 에너지기술개발 역사를 담은 ‘에너지기술 저장소(R&D Warehouse)’ 구축에도 적극 나선다.

원 본부장은 “에너지R&D의 과거,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에너지기술 저장소를 구축해 로드맵-기획-평가관리 전 분야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며 “지난해 태양광, 풍력, 에너지저장, 연료전지를 구축했으며 올해는 CCS, 원자력, 스마트그리드, 청정화력, 바이오에너지, 자원개발기술, 건물 등 11개를 구축한다”고 밝혔다.

원 본부장은 특히 “그동안 전문가 집단의 판단에 따라 기획방향성이 잡히고 기획방향이 보다 구체적이다보니 참여기업도 제한적이었다”라며 “전문가 의존성을 탈피를 위한 것이 바로 R&D Warehouse”라고 강조했다.

에기평은 기관간 에너지기술정보 연계·통합을 위한 소통과 협력채널로써 산업부 소관과 및 유관기관으로 구성된 ‘에너지기술정보협의회’도 운영하고 있다. 이는 각 기관이 보유 중인 정보·통계·DB현황 및 개방범위 협의를 통해 공개 중인 정보는 연계·통합하고 비공개인 정보는 공유·개방을 추진하게 된다.

에기평은 에너지환경변화에 대응하는 R&D도 강화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전력수요관리 대응을 위해 스마트그리드와 에너지저장시스템을 연계한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가상발전소(Virtual Power Plant) 기술개발 및 실증을 추진한다. 에너지안전 강화를 위해 ‘개발, 운영부터 해체까지’ 전주기적 안전성을 확보하는 원자력R&D와 장비·장치·관리시스템 등 에너지시설 안전성 강화도 지원한다.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에너지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R&D과제를 적극 발굴·지원하고 에너지목표관리제, 배출권거래제 도입정책 대응 R&D도 추진하고 있다.

원 본부장은 “부품·소재·장비분야의 중소·중견기업 주도형 R&D프로그램을 추진해 대·중소기업간 R&D협력체계를 강화하고 시장현황 및 Supply-chain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3대 로드맵과의 연계성을 고려해 관련 기술개발과제를 발굴 지원할 계획”이라며 “신정부의 핵심정책 아젠다인 에너지산업 중소·중견기업 육성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기존 단품, 단일시스템 위주의 R&D에서 융합기술, 인티그레이션 등을 통한 비즈니스모델형 R&D를 추진하고 융복합 비즈니스모델 개발 시 국내시장 창출형, 수출주도형 등 국내외 지역별 목표시장을 감안해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원 본부장은 마지막으로 “에너지R&D라는 것 자체가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에너지정책과 연계성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산업은 시장에서 요구하는 것을 하면 되지만 이런 시장논리로만 가면 온실가스 저감 등의 기술은 설자리가 없다”라며 “산업정책과 에너지정책간 부합하는 연계성을 감안해 R&D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