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탄소배출권거래시장 거래 현황
[투데이에너지 김나영 기자] 탄소배출권이 KAU7,860원에 거래를 시작해 8,640원에 장을 마감함으로써 배출권거래제의 서막이 올랐다.

한국거래소는 12일 오전 10시 배출권거래시장을 개장, 2015년 이행연도 할당배출권(KAU15)7,860원에 시작해 현재 유럽에너지거래소(EEX)의 배출권 가격인 6.7유로(한화 약 8,625)와 비슷한 수준으로 비교적 완만한 시작을 보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날 거래된 배출권은 1,190톤으로 974만원에 거래됐다. 이는 KAU15 내에서 진행됐다는 데 그 의미를 더하고 있다.

현재 배출권시장은 할당대상업체 525곳 가운데 499개사와 3개 공적금융기관(수출입은행·산업은행·중소기업은행)을 포함해 총 502개사가 참여했다. 정부는 1차 계획년도인 2017년까지는 할당 대상 업체만 시장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시장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온실가스정보센터에 등록 후 이용이 가능하다.

이에 앞서 한국거래소와 환경부는 부산국제금융센터 한국거래소 본사에서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시장 개장식을 가졌다. 개장식에는 국회 김영주 환경노동위원장, 백규석 환경부 환경정책실장, 김정훈 국회의원, 서병수 부산시장, 성세환 BS금융그룹 회장 등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최경수 한국거래소 이사장은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증권시장과 파생상품시장 운영을 통해 쌓은 경험과 지식을 최대한 활용해 운영해나가겠다라며 배출권거래제의 발전단계에 맞춰 시장제도를 개선하고 시스템을 고도화하는 등 KRX 배출권시장을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춘 시장으로 성장시켜 나가겠다고 전했다.

배출권거래제도는 시장에서 주식을 거래하듯 배출권을 사고파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정부가 기업에 할당한 온실가스 양보다 적게 배출한 기업은 남는 허용량을 팔고 허용량을 넘긴 기업은 부족분을 사들이면 된다.

다만 이번 거래에 대해 관련 업계의 관계자는 개장 초기에는 거래가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들이 나온 가운데 환경부가 이에 대한 부담감으로 인해 상징적으로 거래를 주도한 것으로 보인다라며 사실상 지금으로서는 미리 사모은다는 의미는 있겠지만 할당 대상 기업들이 아직 배출을 하지도 않은 상태에서 거래부터 시작했다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고 전했다.

올 한 해 동안 써야하는 배출권인데 1년 후에 배출권이 남을 것이라는 확신이 없으면 판매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결국 정부의 강압이 있었거나 아니면 실제 배출량보다 더 많은 양을 할당받았다는 것으로 해석된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이는 그동안 관계전문가들 역시 배출권 거래시장을 처음 도입한 올해에는 거래가 활발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은 바 있기 때문이다. 기업들이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한 상황에서 얼마나 사고팔아야 할지 가늠하지 못하는 만큼 올해가 지나봐야 어느 정도 윤곽을 잡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정부 당국도 올해 1231일이 돼야 기업들이 배출총량을 알 수 있을 것이며 환경부의 검증과 확인까지 받고 나면 20164~5월쯤 돼야만 배출총량을 파악해 남는 배출량을 판매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내놨다.

무엇보다 그동안 기업들은 배출권을 사려는 기업은 많은데 팔려는 기업이 부족해 시장이 형성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불만을 제기해왔다. 특히 전환부문에 포함돼 할당량이 과하게 집중된 집단에너지업계를 비롯해 LG화학, 롯데케미칼, 대한항공 등 240여개 기업이 할당량에 대한 이의를 신청했다.

한편 환경부는 지난해 12월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온실가스 배출권 할당량을 배분했다. 할당 기업에는 LG화학, 롯데케미칼 등 석유화학업종 84개사, 포스코를 비롯한 철강업종 40개사, 발전·에너지업종 38개사 등이 포함됐으며 1차 계획년도인 2017년까지 총 159,800KAU를 할당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