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영균 기자
신영균 기자

[투데이에너지 신영균 기자]  해마다 가정이나 캠핑장 등에서 CO 중독 사고가 발생한다. 특히 겨울철에는 난방용 가스보일러 사용 급증 등으로 인해 사고 발생률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 한국가스안전공사는 전국 광역본부를 비롯해 각 지사 등에서 CO 경보기를 무료 보급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을 지켜보며 밀폐공간 등 작업 현장에도 휴대용 가스 감지기를 무료 보급하면 질식 사고 발생률이 대폭 감소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문제는 예산 부족이다.

확인 결과 현재 휴대용 가스 감지기는 15만원에서 고가는 200만원~300만원 정도에 판매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가지 가스만 감지 가능하면 제품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여러 종류 가스를 동시에 감지하고 통신 장치 기능까지 갖춰져 있으면 고가인 셈이다. 그래서인지 산업현장 밀폐공간 등에서 작업하는 근로자들이 이를 갖추지 못해 질식 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과거 가스안전공사도 예산이 부족해 CO 경보기를 무료 보급하지 못했던 시기가 있었으나 다행히 현재는 예산을 확보해 CO경보기와 가스 안전기기인 타이머콕 등을 무료 보급하고 있다. 휴대용 가스 감지기도 이처럼 한국가스안전공사 등 관계기관이 예산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정부와 국회가 전향적으로 나서야 한다.

"예산이 없다", "예산을 확보하기가 어렵다" 등등 그러한 관계당국의 해명은 무책임하고 무능력한 변명으로만 들린다. 예산 문제가 근로자 목숨이나 질식사고 예방보다 우선일 수는 없다. 예산이 없으면 꽉꽉 쥐어짜서라도 확보해야 한다.

휴대용 가스 감지기는 사치품이 아니라 생명 유지 장비다. 안전에 대한 책임을 현장 근로자 개인에게 떠넘기는 구조가 바뀌지 않는다면 질식사고와 사망사고는 반복해서 발생할 수밖에 없다. 당장 무료 보급이 어렵다면 최소한 대여나 지원 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정부와 국회가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

지금 이 시간에도 휴대용 가스 감지기 없이 밀폐공간 속으로 들어가는 현장 근로자들이 있을 듯하다. 그들이 사지(死地)로 들어가는 것만 같은 환영이 보인다. 1990년대 이전까지 어디서나 흔히 볼 수 있었던 문구 '오늘도 무사히'라는 글자가 떠오른다. 밀폐공간 속으로 들어가는 근로자들이 '오늘도 무사히' 작업하고 다시 나올 수 있길 기원한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