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NDC 온실가스 감축목표와 전력부문의 대응 세미나가 개최되고 있다.
[투데이에너지 김병욱 기자] “원자력과 신재생에너지보다는 LNG발전소를 충분히 활용하는 것이 송전선로의 추가건설 없이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는 방안이다”

김광인 숭실대학교 교수는 20일 전력산업연구회가 코엑스에서 개최한 ‘INDC 온실가스 감축목표와 전력부문의 대응’이란 세미나에서 토론자로 나서 “37%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발전부문에서 30%를 훨씬 초과하는 감축이 필요하다”고 전제한 후 이같이 밝혔다.

또한 김 교수는 “제한적 가격입찰제를 도입하고 SMP 결정방식을 개선해 LNG발전소의 수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전력시장의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김 교수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LNG발전기 추가 운전을 할 경우 변동비 손실 발생 방지가 필요하다”라며 “변동비 손실이 발생할 경우 급전지시를 통하 LNG발전량을 증대시키기 어렵다”고 밝혔다.

이어 김 교수는 “비용평가위원회에서 발전기들의 실제 변동비를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은 불가능 하다”라며 “가격입찰을 허용해도 예비율이 높은 상황에서는 발전기들이 실제 변동비 이상 입찰하기는 어려워 SMP에 큰 영향이 없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손양훈 인천대학교 교수는 “원자력과 신재생으로는 감축할 수 있는 여지가 거의 없아 석탄발전을 가스발전으로 대체하는 것이 유일한 방안”이라고 주장했다.

손 교수는 “현 수준의 전기요금과 전력수요 전망치를 그대로 두고 해법을 찾기는 어렵다”라며 “지나치게 비싼 발전용 가스가격으로는 가스로의 연료전환이 쉽지 않고 현재와 같은 기형적인 전력도매시장으로는 적절한 보상체계와 가격시그널을 제공할 수 없으므로 경쟁시스템과 그에 맞는 제도적 개편이 선행돼야 한다”고 전했다.

끝으로 이재덕 GS EPS 상무는 “현실적으로 석탄발전량을 타 전원으로 전환하는 연료전환만이 감축목표를 달성하는 방안이 될 것”이라며 “원전으로의 전환은 다수 원전의 추가건설을 전제해야 하므로 사실상 불가능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이 상무는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은 경제성과 부하조절의 문제로 어려울 것”이라며 “결국 석탄발전량을 LNG발전량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고 이를 위해서는 구체적인 시장제도 개선과 전력수급계획의 변화를 깊이 있게 검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