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7월 민간 최초의 광양 LNG 터미널 준공을 앞두고 한국가스공사와 포스코가 배관망 공동이용에 대해 협의하고 있는 가운데 양사간의 의견이 첨예하게 대립되는 등 국내 처음 도입되는 배관망 공동이용제 논의가 난관에 부딪히고 있다.

가스공사와 포스코의 주요 논의 쟁점은 크게 요금부문과 기술부문. 요금의 경우 산업자원부가 공정한 틀을 마련하고 이를 따른다는 데에 합의해 큰 이견이 없지만 기술부문에는 양사가 협의해 조율토록 하고 있어 여전히 극명한 의견차이를 보이고 있다.

배관시설이용 요금의 경우 산자부는 현행 천연가스 공급비용에 적용하는 종량요금(단일)대신 용량요금에 종량요금 단가를 더해(2부요금) 적용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가스공사와 포스코와 첨예하게 이견을 보이고 있는 수급관리 책임 여부, 가스품질 문제 등은 해결점을 찾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산자부의 조정신청으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

우선 가스공사는 현재 가스매매계약서상 수급관리책임이 가스공사에게 있지만 배관망공동이용시에는 포스코도 수급관리 책임을 져야하며 사용계획서상에 따른 약속을 지키지 않을시 패널티를 적용해야한다는 입장이다. 더구나 배관시설 이용에 대한 사용계획을 시간단위로 적용할 계획이다. 이에 반해 포스코는 수급관리 책임에 패널티를 적용하는 방안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보이고 있다. 또 배관시설 이용계획을 시간단위로 적용하는 것은 너무 심한 처사이며 일단위를 적용하자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다른 쟁점중 하나는 가스품질 문제. 포스코가 시운전을 위해 우선 도입한 오만산 LNG의 가스품질문제가 도마에 올랐다. 포스코가 도입한 1카고 도입한 오만산 LNG는 10,700㎉/㎥이기 때문에 가스공사가 요구하는 10,500㎉/㎥ 수준보다 고열량이다.

저열량의 경우 포스코가 6월말 완공하는 열량조절설비를 이용해 열량조절이 가능하지만 고열량의 경우 정밀산업분야 등 최종소비자의 설비에 이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가스공사와 도시가스사가 부피 단위 거래를 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가스공사가 거래상 손해를 입을수 있다며 고열량 가스의 가스공사 배관망 접속은 절대 불가하다는 입장이다.

포스코가 광양 LNG 터미널에 건설한 10만㎘급 2기의 LNG 저장탱크로는 사실상 LNG 수급관리에 상당한 어려움을 안고 있어 TOP발생 가능성이 크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최근 포스코는 한국가스공사측에 수급상 물량이 넘칠 경우 구매해 줄 것을 요청했지만 가스공사가 부정적인 입장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로 LNG선박 1척이 들여오는 LNG의 도입량은 약 6만톤 수준. 그러나 10만㎘급 저장탱크 1기에 저장할 수 있는 LNG는 약 4만5,600톤 규모이고 Dead Stock(안정재고)을 고려할 경우 2기의 저장탱크를 운영한다고 하더라도 사실상 LNG선박이 입항해 하역 할때 상당한 재고관리 부담을 느껴야하는 실정이다. 물론 포스코가 자가용과 K-파워 발전용으로 천연가스를 공급하기 때문에 연중 균등한 공급으로 수급관리가 가능하지만 공장 가동 중단 등 유사시에는 TOP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이처럼 국내 처음으로 적용하게 될 배관망 공동이용제의 도입을 앞두고 가스공사와 포스코가 이견을 보이고 있고 포스코가 민간 최초의 광양 LNG 터미널의 준공을 앞두고 여전히 수급관리상의 문제 등을 안고 있어 이의 해결을 위한 정부 및 관계기관의 노력이 절실한 상황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