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박병인 기자] 우리나라가 수주집계 누락분을 포함해 9월 선박수주 1위를 달성하며 3개월 연속 세계 최정상의 자리를 유지했다. 다만 최근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던 대형 LNG선 분야에서는 수주실적이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지난달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은 48만CGT(20척)를 기록했으며 그중 중국이 24만CGT(13척, 49%), 한국 23만CGT(6척, 48%), 미국 1만CGT(1척, 3%) 순이었다.

하지만 집계에서 누락된 9월 수주분을 포함하면 총 65만CGT 중 한국이 34만CGT(53%), 중국은 29만CGT(45%)로 한국이 앞서 3개월 연속 수주 1위를 유지했다.

누락분은 한국이 삼성중공업 S-max 탱커 2척, 현대미포조선 MR탱커 1척, 대한조선 A-max 탱커 1척 등 총 11만CGT였고 중국이 COSCO A-max 탱커 2척으로 5만CGT였다.

3분기(7~9월) 누계에서도 전체 발주량 319만CGT 중 한국 142만CGT(45%)로 1위이며 러시아 86만CGT(27%), 중국 83만CGT(26%)으로 뒤를 이었다.

다만 1~9월 전 세계 누계 발주량인 975만CGT는 전년 동기 2,003만CGT의 절반(49%) 수준으로 발주 부진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1~9월 국가별 누계 수주실적은 중국 483만CGT(233척, 50%), 한국 262만CGT(81척, 27%), 러시아 93만CGT(21척, 10%), 일본 85만CGT(57척, 9%) 순이다.

최근 3년간 1~9월 국내 누계 선박발주량 추이를 보면 2018년 2,744만CGT, 2019년 2,003만CGT(27%↓), 2020년 975만CGT(51%↓)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선종별로 살펴보면 S-Max급 유조선과 초대형 유조선(VLCC)은 소폭 하락한 반면 컨테이너선, A-Max급 유조선, 벌크선 및 대형 LNG선(14만㎥ 이상) 등의 발주량은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9월 누적 선종별 누계발주량을 전년실적과 비교해보면 VLCC는 지난해 95만CGT(22척)이었지만 올해에는 68만CGT(16척)으로 28% 감소했다.

S-Max급 유조선은 지난해 57만CGT(19척)이었으나 올해 54만CGT(18척) 5% 가량 감소했으며 A-Max급 유조선은 지난해 104만CGT(40척)에서 올해 56만CGT(21척) 46% 감소했다.

14만㎥급 이상 대형LNG선은 지난해 267만CGT(31척)에서 올해 162만CGT(19척) 39% 감소했다.

12만TEU급 컨테이너선은 지난해 86만CGT(15척)에서 올해 51만CGT(7척)으로 41% 감소했으며 벌크선은 지난해 188만CGT(53척)에서 올해 34만CGT(10척)으로 82% 감소했다.

9월 말 전세계 수주잔량은 8월말 대비 소폭(△177만CGT, 3%↓) 감소한 6,806만CGT로 올해 1월 8,082만CGT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로는 중국(△82만CGT, 3%↓), 한국(△67만CGT, 4%↓), 일본(△18만CGT, 2%↓) 순으로 각각 감소했다.

전년과 비교해서도 일본 △461만CGT(34%↓), 중국 △390만CGT(14%↓), 한국 △259만CGT(12%↓) 모두 감소했다.

국가별 수주잔량은 중국 2,465만CGT(36%)에 이어 한국 1,842만CGT(27%), 일본 905만CGT(13%) 순이다.

한편 수주잔량 6,806만CGT는 지난 2003년 12월 6,598만CGT를 기록한 이후 최저치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9월 클락슨 신조선가지수(Newbuilding Price Index)는 지난달과 동일한 127포인트를 기록했다.

선종별 선가 추이를 살펴보면 LNG선(17만4,000㎥)은 1억8,600만달러, 컨테이너선(2만~2만2,000TEU, 1만3,000~1만4,000TEU)은 각각 1억4,400만달러, 1억800만달러, 벌크선(Capesize)은 4,650만 달러로 지난달과 동일했다.

반면 초대형 유조선(VLCC)은 8,700만 달러에서 8,600만달러, S-max 유조선은 5,650만달러에서 5,600만달러, A-max 유조선은 4,800만달러에서 4,750만달러로 소폭 하락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