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대인 기자

[투데이에너지 조대인 기자] 내년 총선을 앞두고 국민들의 표심 향방에 정치권이 서둘러 전기와 도시가스 요금 조정에 나서지 않으면서 상대적으로 LPG업계에 피해가 적지 않다는 지적이다. 

금리 인상, 물가 상승 등으로 국민들에게 미치는 부담이 적지 않아 정부에서 요금 조정 필요성을 어필하고 있지만 수개월째 유보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LPG가격은 민간기업이 매월 국제LPG가격과 환율 등의 변동 요인을 반영해 결정하지만 에너지가격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커 LPG가격도 인상요인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었다. 

도시가스 미수금과 한전의 적자 상태를 해소하기 위해 회사채 발행한도를 확대하는 등의 조치를 취했지만 금융비용이 적게는 1,000억원, 많게는 2,500억원에 이른다는 지적도 없지 않다. 

정부 보중을 통해 한전 회사채 발행이 확대되면 건설을 비롯한 다른 민간기업의 회사채는 금융시장에서 외면 받을 가능성이 높다. 

특히 실리콘벨리, 더퍼스트 리퍼블릭 등 미국 은행권들의 불안은 유럽을 비롯한 다른 국가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불러오고 원화가치 하락에 불안한 환율시장이 조성되고 있기도 하다. 

전기와 도시가스 요금 조정 지연에 한전과 가스공사의 경영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은 물론 LPG를 비롯한 다른 가격에도 부정적 시그널을 주고 있는 셈이다. 

산업용은 물론 석유화학 등 LPG수요 증가를 견인해 왔던 LPG수요가 모든 부문에서 감소 현상을 나타낸 것은 전기와 도시가스 요금 조정 지연이 미친 영향이라는 시각이 적지 않다. 

도시가스는 물론 지역난방 등 다른 연료와 대체관계에 있는 LPG소비가 줄고 많은 투자비가 소요되고 공정안전관리, 즉 PSM 대상이 되는 산업체의 LPG연료전환 등도 녹록치 않기 때문이다. 

전기와 도시가스 요금이 제때 조정됐더라면 상대적으로 LPG가격 경쟁력이 개선돼 LPG소비가 더 많아졌을 가능성이 높다.

특히 유가를 비롯한 국제가격과 환율 등의 변동에 따른 요인들을 제 때 반영하지 않게되면 소비자들에게 혼선을 줄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낮은 수준의 가격이 유지됨에 따른 에너지절약 등과 같은 소비자들의 활동도 둔화시킬 가능성이 크다. 

급격한 에너지가격 변동은 물가와 국민부담에 미치는 영향이 커 정부가 일부 개입할 여지가 있겠지만 이를 최소화하지 않으면 미수금이나 적자 상태를 장기화시키고 공기업의 부실을 초래하게 돼 국민세금을 투입해야 하는 구조로 악순환될 수밖에 없다. 

늦춰진 가격 조정은 일시적으로 국민들 마음을 살 수 있겠지만 차후 이를 제대로 반영하면 불만이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특히 관련된 다른 업종에도 피해(?)로 돌아가지 않도록 합리적 판단과 결정이 이뤄지길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