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박병인 기자] 대부분의 도시가스사들이 올해 상반기 영업실적에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이 전년 대비 감소하며 고배를 마셨다. 지자체의 지나친 소매공급비용 압박에 더해 매년 인상되는 인건비,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물가상승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먼저 삼천리의 올해 상반기 매출액은 2조2,609억325만2,689원으로 전년 동기 매출액인 1조9,124억 4,737만5,309원에 비해 약 15.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의 경우에는 810억 8,785만8,827원으로 전년 동기 영업이익인 763억4,206만7,225원에 비해 5.9% 가량 증가했다. 당기순이익의 경우에는 800억 754만4,690원으로 전년 동기 당기 순이익인 633억3,418만8,081원과 비교해 20.8% 증가했다.

삼천리는 비교적 선방했지만 서울도시가스의 경우에는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서울도시가스의 매출액은 9,857 억1,965만1,147원으로 전년 동기 매출액인 8,814억307만4,509원 대비 10.6% 증가했다. 반면 영업이익은 154억6,246만 1,927원으로 전년 동기 영업이익인 229억7,622만6,169원 대비 48.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기순이익은 253억2,976만 8,468원으로 전년 동기 당기순이 익인 253억2,266만352원 대비 소 폭 늘었다.

인천도시가스의 매출액은 3,931 억6,747만4,301원으로 전년 동기 매출액인 373억9,873만7,827원 대비 9.5%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74억7,989만500원으로 전년 동기 영업이익 111억 2,277만564원 대비 48.7%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의 경우에는 79억 9,211만9,205원으로 전년 동기 당기순이익인 126억3,978만5,555원 대비 58.2% 감소했다.

대성에너지의 매출액은 5,584억 8,946만4,439원으로 전년 동기 매출액인 4,985억1,609만6,615원에 비해 10.7% 증가했다. 반면 영업이익은 149억4,313만 2,241원으로 전년 동기 영업이익인 199억6,649만894원 대비 33.6% 감소했으며 당기순이익은 130억 6,865만5,057원으로 전년 동기 당기순이익인 152억6,984만1,796원에 비해 16.8% 감소했다. 예스코의 매출액은 581억4,253 만7,000원으로 전년 동기 매출액인 477억7,168만9,000원에 비해 17.8%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377억2,662만7,000 원으로 전년 동기 영업이익인 51억6,919만8,000원에 비해 86.3% 증가했다. 당기순이익도 353억 9,064만5,000원으로 전년 동기 당기순이익인 65억5,763만원에 비해 81.5% 증가했다. 경동도시가스의 매출액은 1조 102억3,301만666원으로 전년 동기 매출액인 1조1,076억6,236만5,340 원에 비해 9.6%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191억7,974만381원으로 전년 동기 영업이익인 289억 684만6,701원에 비해 50.7% 감소 했으며 당기순이익은 198억7,789 만4,186원으로 전년 동기 당기순 이익인 24억1,032만3,061원에 비해 20.8% 감소했다.

지에스이의 매출액은 908억 9,639만3,089원으로 전년 동기 매출액인 915억4,907만2,211원에 비 해 0.7%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41억3,595만8,782원으로 전년 동기 영업이익인 58억 664만9,658원에 비해 40.4% 감소 했으며 당기순이익은 51억2,171만 634원으로 전년 동기 당기순이익인 60억844만3,292원에 비해 17.3% 감소했다.

전체적으로 일부 도시가스사를 제외한 대부분의 도시가스사에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의 감소를 보였다. 이는 지난해 코로나19, 높아진 천연가스가격 등을 빌미로 지자 체들이 소매공급비용을 압박했기 때문이다. 도시가스사들은 안전확보, 서비 스 증진을 위해 소비자들에게 투자한 비용을 소매공급비용을 통해 보전받는데 인상요인이 산적했음에도 이를 무시하고 무리한 동결결정 을 내린 탓이다.

실제로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로 인해 자재비용이 크게 증가했으며 매년 인건비는 물가 상승추세에 맞춰 인상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보전 없이 동결을 실시해버렸기 때문에 영업이익 감소로 이어지게 된 것이다. 엎친데 덮친격으로 높아진 천연 가스 원료비에 산업용 수요도 경쟁 연료로 이탈하면서 사용량이 감소했다. 주택용의 경우에는 지나치게 부풀려진 난방비 이슈 등으로 인해 자체적으로 소비를 억제하는 효과 를 불러오기도 했다. 올해에는 각 지자체들이 소매공 급비용을 인상했으나 ‘제한적 인 상’을 실시한 지자체들이 많아 투 자비용이 모두 반영됐을지는 의문으로 남고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