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중국 정부가 12월 1일부터 2차전지 핵심 소재인 흑연을 수출 허가 품목으로 지정하기로 했다. 이번 수출 통제 대상 품목은 고순도·고강도·고밀도 인조흑연과 천연 인상 흑연 및 제품으로 우리의 반도체 산업에 미칠 파장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미국이 대중국 반도체 수출 통제 조치를 내놓자 중국이 곧바로 핵심 광물자원을 무기로 ‘눈에는 눈, 이에는 이’라는 식의 맞대응에 나선 것이다. 

이를 두고 중국의 조치가 장기화될 경우 최대 피해국은 배터리 산업의 선두 주자인 한국과 일본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우리는 2년 전 중국의 일방적 조치에 온 나라가 위기감에 휩싸였던 기억을 갖고 있다. 

지난 2021년 10월 중국 정부가 자국 대형 비료업체 일부에 요소 수출 중단을 지시했다.

이는 곧바로 디젤 자동차 비중이 높은 국내 상황에 일순간 혼란으로 이어졌다. 

요소수를 넣으려고 주유소마다 화물차들이 길게 줄을 섰다. 

가격이 10배로 치솟고 매점매석 행위도 발생했다. 승용·화물차를 넘어 소방차, 구급차, 건설기계와 발전소까지 멈출 지경이 됐다. 

대안 없이 특정 국가에 공급망을 전량 의존하는 위험성을 깨닫는 계기도 됐다.

흑연 사태와 관련 정부는 기업들과 함께 흑연 수급대응 TF를 구성해 대응하기로 했다. 

중국 상무부와 고위급 대화나 한·중 경제장관 회의를 통해 중국 당국과 우리 수입 물량에 대한 허가 지연이나 반려가 없도록 협의에 나선다고 밝혔다.

또 내년 국내에서 가동 예정인 인조흑연 생산공장 가동 시기를 최대한 앞당길 계획이다. 

아울러 탄자니아, 모잠비크 등 흑연 매장량을 보유한 국가의 대체 물량을 확보하고 실리콘 음극재 등 흑연 대체재 개발에도 속도를 내기로 했다. 

우리는 광물 수요의 95%를 수입에 의존하는 나라다. 당장으로선 해외 의존도를 낮추거나 대체재 확보에 상당 시간이 걸릴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업계에 당장 미칠 영향이 제한적이라고 안일하게 인식하면 언젠가 무방비로 당한다.

정부와 기업들이 한 몸이 돼 이 험한 자원 무기화 시대를 헤쳐 나갈 묘수를 찾아야 한다. 

일이 벌어져야 그제서 움직이는 나쁜 버릇은 일찌감치 버리는게 좋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