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차기영 기자] 무탄소에너지의 활용과 공급을 촉진하기 위한 정부·기업 합동 기구인 무탄소연합(CFA)이 지난 10월27일 출범하고 이회성 전 IPCC 의장이 초대 회장으로 선출됐다. 무탄소연합은 윤 대통령이 국제연합 총회 기조연설에서 제안한 무탄소에너지(CFE) 이니셔티브 추진을 위한 핵심 기구다. 무탄소연합은 출범 후 국내외 기업 및 국제기구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본격적인 활동에 주력하고 있다. 무탄소연합의 역할과 향후 전망을 살펴보고자 이회성 회장을 만나봤다.

무탄소연합(CFA)은
무탄소에너지(CFE)는 재생에너지, 원전, 수소, 탄소포집·활용·저장(CCUS) 등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에너지를 활용해 배출제로를 달성하자는 것이다.

온실가스 배출량의 성격과 범위에 따라 Scope 1(직접배출), Scope 2(간접배출), Scope 3(기타 간접배출)으로 나뉘는데 지금까지는 Scope 2에 해당되는 부분을 중시해 왔다. 한편 Scope 1 자체 시설에서 배출되는 부분이 상당히 많기 때문에 무탄소에너지는 Scope 1, Scope 2 전부를 아우르면서 가본 배출을 0으로 하는 그 여정을 빨리 당기자는 취지이다.

무탄소연합이 이제 해야 할 일은 우선 국내적으로 기업체에서 무탄소 에너지를 사용했다는 것을 인증할 수 있는 인증제도를 만들고 나아가 국제적인 차원에서 인정할 수 있는 체계 구축에 주력하는 것이다. 

무탄소연합은 우리나라 경제 발전사에서 획기적인 일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나라 경제를 이끌어 가고 있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포스코 등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무탄소 에너지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에너지 시스템 자체를 카본 프리로 해야 되겠다는 것을 스스로 알아가는 것은 다른 어떤 나라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사례이다. 

이것이야말로 나라 경제의 발전과 직결되는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다. 이 찬스를 놓치면 계속해서 탄소중립한다고 말뿐 이뤄지는 건 없을 것이다.

파리협정 1.5도를 넘어선다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기후변화의 위기만 부각시키고 있지만 이제 한계에 부딪혔다. 기상이변이라는 것은 우리가 그동안 알고 있는 범위 밖에서 모든 것이 벌어지는 것이다.

1.5도를 넘어서면 농지의 8% 이상이 곡식을 생산할 수 없는 땅으로 변하고 산호초 백화 현상이 가속화돼 90% 정도가 사라지며 북극의 여름철에는 얼음이 완전히 사라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즉 1.5도를 넘어서게 되면 소위 티핑 포인트라는 것을 넘어설 가능성이 너무 크다.

나아가 2도를 넘어서면 최대치로 30억인구가 물부족에서 벗어날 수 없고 식량 문제도 더욱 심각해 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약 29% 정도의 종이 멸종 위기를 맞이하게 될 것이다. 때문에 1.5 도는 반드시 지켜야 된다.

특히 세계 빈곤 수준은 더 심각해 질 것이고 선진국들이 앞장서 유용한 방안을 찾아야 한다. 또한 개도국들이 동참하지 않으면 기후변화 저지는 성공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럼에도 아직은 기후변화라는 문제가 사람들한테 막연하게 느껴지는것 같다. 경제학 관점에서 탄소세를 도입해 1.5도를 지킬수 있다는 결론이 있지만 실제로 실행하기는 어려운 점들이 많다.

특히 기업들의 입장에서 청정에너지에 투자했을 때 보상과 지원이 없으면 어려운 상황이다. 때문에 기업이나 개인이 탄소저감을 했을때 주어지는 인센티브 즉 지원제도가 중요하다.

2050 탄소중립 달성 전망은
전 지구적으로 2050년 이산화탄소 배출 0을 달성하기 위해 발전부문, 산업부문, 수송, 빌딩, 농업, 폐기물 등 모든 섹터에서 이산화탄소 배출이 0으로 떨어져야 한다. 그 중 가장 핵심은 철강, 시멘트, 화학 등 산업부문이다.

우리나라 산업구조를 보았을때 철강, 석유화학, 반도체가 경제를 받치는 주요 핵심 산업이다. 한편 이 세 가지 분야는 기후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특히 우리에게는 도전이자 앞서 갈 수 있는 기회이다.

산업부문에서의 배출량을 0으로 만들려면 기술 혁신이 필요하다. 현재 그린수소, Direct Air Capture, CCUS, SMR 등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고 엄청난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

사실 합리적인 에너지믹스에 관련해 정답은 없다. 저는 이산화탄소 배출만 보면 된다고 생각한다. 이산화탄소 배출을 0으로 할 수 있느냐 없느냐가 가장 중요하다.

특히 산업체에서 얼마의 행동을 취하고 어느만큼의 이산화탄소가 줄어드는지를 명확하게 알아야 한다. 때문에 인증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탄소저감 실현을 위해 모든 기술을 포용하는 정책이 선행돼야 하고 이 과정에서 정부의 연구개발 투자가 관건이다.

국내적인 차원에서 볼 때 저희 무탄소연합에 같이 뜻을 모으고 있는 20개 기업들이 지금 무탄소 노력을 시작했다는 것은 2050 목표 달성에 결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한다.

결국 무탄소화 한다는 것은 산업부문과 정부가 긴밀하게 협업하지 않으면 이뤄지지 못하는 부분이다. 정부의 지원과 기업들의 기술 발전이 발 맞춰 나아가야 한다.

무탄소에너지, RE100, 24/7 CFE
RE100은 연간 단위로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24/7 CFE는 구글 등이 제안한 매시간 단위로 사용한 전력을 100% 무탄소에너지원으로 활용해야 하는 것이다.

24/7 CFE를 실시간에만 초점을 두고 있지만 사실 RE100과의 차별점은 재생에너지냐 무탄소에너지냐 하는 점이다.

저희 무탄소연합은 탄소중립 목표에 더욱 더 접근 할 수 있도록 Scope 1, Scope 2를 포함시켜서 완성도를 높인 것이다.

무탄소경제는 나아가야 할추세이다. 때문에 무탄소엽합은 참여할지 말지의 문제가 아니라 참여해야 하고 참여할 수 밖에 없는 필드로 형성이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

국제사회에서 바라보는 CFA는
무탄소연합 출범이후 11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12월 제28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를 계기로 각종 국제세미나와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에 참여해 ‘무탄소에너지 이니셔티브’에 대한 국제사회 공감대 확산에 노력했다.

특히 한미 동맹 70주년을 맞아 방문규 산업부 장관은 미국 국무부 호세 퍼르난데스차관과 ‘한-미 에너지 비즈니스 원탁회의’을 공동 주최하고 미국 주요 기업들과 함께 무탄소에너지 활용 확대 방안을 본격 논의했다. 또한 윤석열 대통령의 영국 국빈 방문을 계기로 원전, 해상풍력, 수소 등 무탄 소에너지 협력을 본격 추진키로 했다.

이 과정을 통해 저희 무탄소연합에 대한 국제적인 공감대가 형성돼 가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제 가장 중요한 것은 속도이다. 국내 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 함께 논의하고 협의해야 될 사안이다.

특히 이번 COP28은 에너지측면에서 보면 획기적이다. 청정에너지에 원전, CCS, CCUS 등을 명시한 바 이는 무탄소에너지에 대한 정의가 이뤄진 것이다. 세계가 온실가스 저감을 인식하는 데 있어서 큰 전환점이 되는 계기라 생각한다.

유럽 CBAM이 본격 시행되는데
EU CBAM은 철강, 알루미늄, 시멘트, 비료, 수소등 총 6개 업종에 적용되므로 해당 품목을 EU에 수출하는 우리 기업은 EU에 있는 수입 업자를 통해 수입품에 내재된 탄소배출량에 상응 하는 CBAM 인증서를 구매해 EU 당국에 제출할 의무가 발생한다.

우리는 이 제도의 발전을 위해 우리의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생각한다. 특히 우리가 보유하고 있는 훌륭한 제품과 기술은 오히려 베네핏을 받아야 할것이다. 나아가 EU의 기준보다 훨씬 더 우수하게 탄소 배출을 줄이는 노력도 해야 할 것이다.

앞으로는 EU의 기준만이 정답이 아니라 국제적인 룰을 만드는 데 한국의 목소리를 내고 참여하고 기여해야 한다. 무탄소연합은 우리 기업의 이산 화탄소 배출 저감 실적을 국제에서 인정하고 다른나라도 참여할 수 있도록 상호 인증제도 마련에 주력할 것이다.

무탄소연합의 역할과 회장님의 미션은
2050 탄소중립은 전 세계가 같이 노력해서 나아가야 할 길이다. 기후위기 대응을 특정 에너지원의 선택만으로 해결할 수 있는 시기는 지났다. 세계 각국 정부, 국제기구, 경제 주체가 실질적으로 탄소중립에 이바지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찾고 실행해야 할 때이다.

무탄소연합이 기후위기 대응에서 우리나라가 21세기 무탄소경제 시대의 선두 주자가 되도록 이바지하고 다른 나라가 벤치마킹하는 한국이 되도록 하겠다.

무탄소연합의 성공적인 확산을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지원과 민간 산업의 협업이 이뤄지길 바란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