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현대건설이 15년만에 불가리아 대형 원자력  발전소 공사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현대건설은 벡텔(Bechtel), 플루어(Fluor) 등  유수의 기업들이 참여한 이번 입찰에서 까다 

로운 사전요건을 모두 충족한 유일한 시공사 로 평가받았다고 밝혔다.

정부 차원의 원전 생태계 복원 결정과 원전 산업에 대한 지원 약속이 풍부한 시공 경험과 

뛰어난 기술력을 갖춘 민간기업과 맞물린 결 과로 보여진다.

지난 2009년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 전 수주 이후 멈췄던 원전 수출이 다시 기지개 

를 켜는 모습에 원전업계의 기대감은 클 수 밖 에 없다.

앞서 산업부는 원전 설비 5조원 수주 조기 달성 및 2027년 목표를 10조원으로 상향하고 

체코와 폴란드, 루마니아 등 입찰에 집중해 대 형원전 수출을 가시화하겠다고 밝혔다. 

기업들의 원전 수출 재개에 신호탄을 쏘아 올리며 정부의 ‘원전 최강국 건설’에 힘이 실리 

는 모양세지만 정작 국내 원전 관련 가장 큰  이슈인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처리 특별법’은 

폐기 위기에 내몰려 있다.

원전 산업이 활력을 되찾고 있지만 우리나 라에 아직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을 처분하는 

장소(방폐장)가 없다는 점은 원전 최강국이라고 하기엔 부끄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방폐장 건설은 1978년 고리1호기 상업운전 이후 40여년간 풀지 못한 숙제로 남아 있다. 

오랜 기간 누적된 방폐물은 1만8,000여톤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폐장 신설을 위한 특별법은 여야 간 입장을 좁히지 못하고 있는 상황으로 오는 5월말까 

지인 21대 국회에서 처리되지 못하면 폐기될 수 밖에 없다.

임시저장시설을 증설한 월성 원전을 포함해 한빛, 한울, 고리 등 원전이 2030년부터 순차 

적으로 폐기물 저장수용 한계에 이를 것이라 는 전망이 현실화되는데 시간이 얼마 남지 않 

았다.

최근 한국방사성폐물학회를 비롯해 산·학· 연 관계자 등 수백명이 절박한 심정으로 국회 

에서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특별법’ 제정 을 촉구했다.

정치권은 국가적 난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당파적·이념적 계산에 매몰되지 않고 오로 

지 국익을 우선하는 마음으로 협치에 나서야한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