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 2024년 매출 실적과 영업이익 /출처 LG에너지솔루션
 LG에너지솔루션 2024년 매출 실적과 영업이익 /출처 LG에너지솔루션

[투데이에너지 장재진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은 2024년 매출 25조6,196억 원, 영업이익 5,754억 원을 달성했다고 발표하고 전년 대비 매출(33조7,455억 원)은 24.1%, 영업이익(2조1,632억 원)은 73.4% 감소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4분기 매출은 6조4512억 원, 영업이익은 △2,255억 원이다. 매출의 경우 전분기(6조8,778억 원) 및 전년 동기(8조14억 원) 대비 각각 6.2%, 19.4%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전분기(4483억 원) 및 전년 동기(3,382억 원) 대비 적자 전환했다. 

이창실 LG에너지솔루션 CFO(최고재무책임자)는 지난 24일 실적 설명회를 통해 “한 해 동안 북미 지역 판매는 전년 대비 증가했으나 유럽 시장 역성장, 메탈 가격 약세에 따른 판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전사 매출은 전년 대비 24% 감소했다”며 “영업이익의 경우 가동률 저하와 신규 공장 초기 양산에 따른 고정비 부담으로 전년 대비 73% 하락했다”고 밝혔다. 

이 부사장은 “지난해 미국 GM JV 2기, 인도네시아 현대차 JV, 캐나다 스텔란티스 JV 등이 셀 및 모듈 생산을 성공적으로 시작하며 차별화된 제조 역량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라며 "EV 사업에서 파우치형 LFP CTP, 고전압 미드니켈, 원통형 46시리즈 신규 제품의 대규모 공급계약은 물론 ESS 사업에서도 북미 전력망 대규모 프로젝트 수주에 성공했다. 또한 오창 에너지플랜트 46시리즈 양산 라인 구축 및 건식전극 파일럿 라인 준비, 고품질 IRA 적격 광물 확보 등 제품 및 원가 경쟁력도 한층 강화한 한 해였다”고 말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외부 전문 기관 및 시장 수요를 종합해 볼 때 글로벌 배터리 시장은 용량 기준 20% 중후반대의 성장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EV 시장의 경우 당분간 일시적 수요 둔화는 지속되고 보조금 정책 변경 등 소비자 심리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정책 변화도 예상되지만 반대로 주요국 내 ‘선진입 효과’가 뚜렷해질 것으로 기대했다. 미국 등 핵심 시장에서 보호무역주의 기조가 심화되면서 고율 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선제적으로 시장을 개척해 온 기업들이 큰 수혜를 기대해 볼 수 있다는 뜻이다. 

ESS 시장의 경우 상대적으로 견조한 성장세가 예상된다. 주요 국가들의 ‘에너지 안보’ 기조 강화로 권역별 재생에너지 인프라 구축 수요가 확대되고 있고 AI 기술 고도화로 데이터센터 확산이 가속화되어 ESS 수요도 크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2026년부터 미국이 중국산 ESS 배터리에 대한 수입 관세를 상향 조정할 예정으로 북미 현지 수요가 더욱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날 LG에너지솔루션은 △시장 변동성 선제적 대응 △펀더멘털 경쟁력 강화 등 장∙단기 중점 추진 전략을 발표했다. 

이날 LG에너지솔루션은 “2025년 매출은 5~10%의 성장을 목표한다”고 밝혔다. 메탈 가격 하향 안정화로 배터리 가격 상승은 제한적이나 스텔란티스 JV∙ 혼다 JV 등 신규 공장가동과 46시리즈 등 고부가가치 신제품 출시는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했다. 생산시설 투자는 신증설 투자 속도를 조절하고 기존 생산 거점 활용도를 높여 전년 대비 20~30% 축소하여 집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