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자균 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 회장이 정기총회 안건을 심의하고 있다./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 제공
구자균 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 회장이 정기총회 안건을 심의하고 있다./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 제공

[투데이에너지 박찬균 기자] “스마트그리드 산업계도 분산에너지 특구에서 사용될 VPP, ESS, 전력거래, 마이크로그리드, EMS 등의 비즈니스 모델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한국스마트그리드협회 구자균 회장은 17일 강남구 역삼동 노보텔 앰배서더 서울 강남 호텔에서 개최된 정기총회 개회사에서 이같이 말했다. 구 회장은 또 “분산에너지 특구에서의 전기직접판매 특례는 기존의 중앙집중형 전력시스템에서 벗어나 지역에서 생산한 전기를 지역에서 소비할 수 있게 되는 ‘분산형 전력시스템’으로 나아가는 길이며 송전 비용을 절약하고 지역 균형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전략”이라며 “탄소중립, RE100을 좀 더 쉽게 충족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수출 기업들에게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올해로 16회를 맞이한 정기총회에는 구 회장을 비롯해 김용호 한전KDN 부사장, 박만금 전력거래소 본부장, 조용휘 삼성SDI 조용휘 부사장, 한영성 효성 상무, 은상표 한국남동발전 부사장 등 회원사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올해 사업계획과 임원 선임 등을 의결했다.

이날 협회는 △전기사업법 및 분산에너지 특별법 관련 정책 개선 추진 △Korea Smart Grid Expo 2025 개최 △회원사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 △분산에너지 및 전기차 충전 시험인증 체계 구축ㆍ운영 △전력계통 및 분산에너지 연계 표준화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표준화 등의 2025년 사업목표를 의결했다.

또한 지난 2024년 한 해 동안 △전력신산업 활성화 컨퍼런스 3회 개최 △표준 제·개정 18건(제정 9종, 개정 제안 9종) △OCPP 시험 서비스 182건 시행 △Korea Smart Grid Expo 2024 개최 △재직자 직무능력 향상 교육 43회 운영 실적(924명 수료)을 통한 5년 연속 최우수 훈련기관 선정 △사업자 등록 365건(지능형전력망사업자 68건, 전기신사업자 297건) 등의 주요 사업 운영 실적을 보고했다.

장재원 상근부회장은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으로 인해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이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시장에 영향을 줄 것”이라면서 “협회는 분산에너지 사업자 등록기관으로서 정부와의 면밀한 협의를 통해 회원사들이 분산에너지 사업에 성공적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보조하고 지속적인 법안과 정책 모니터링을 통해 지속적으로 보조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면서 회원사들의 성공적인 사업 수행을 지원하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한편 이날 행사에서는 ‘2024년 스마트그리드 산업 발전 유공자 포상’과 ‘스마트그리드 아이디어 포스터 공모전 시상’도 함께 진행됐다. 매년 스마트그리드 산업 발전에 기여한 산업계 인사를 대상으로 시상하는 스마트그리드 산업 발전 유공자 포상은 구 협회장이 직접 시상했으며 2024년 유공자로는 김건호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차장, 황형근 LS사우타 팀장, 주창기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센터장, 이상민 제니스코리아 대표, 노서영 해줌 부문장이 선정됐다.

또한 올해 처음으로 개최된 스마트그리드 아이디어 포스터 공모전은 지난 ‘Korea Smart Grid Expo 2025’ 기간에 진행됐으며 최종 8개 팀이 수상의 영애를 안았다. 먼저 한국스마트그리드 협회장상은 ‘PCM으로 연결된 전기와 물 : ESS의 차세대 기술 혁명’을 작성한 박보민(숙명여대, 대표 수상), 박채은(한양대), 홍승현(부산대) 팀과 ‘Rail-Driven 이동형 무선 충전 패드 기반 주차장형 EV 충전 토폴로지’를 작성한 김예지(성균관대, 대표 수상), 송성욱(성균관대) 팀이 수상했다.

이밖에 한국전력공사 사장상은 ‘그리드포밍 인버터와 ESS를 연계한 모듈형 비즈니스모델 개발’을 작성한 정찬준(동국대) 팀과 ‘V2G기술 활성화를 위한 인센티브 지급 기준 책정’을 작성한 최정윤(강원대, 대표 수상), 김진현(강원대), 정하경(강원대) 팀이 수상했다.

용어설명

VPP(Virtual Power Plant)-가상발전소라고 불리며 지금까지 없던 새로운 유형의 발전소.

키워드
#VPP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