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S 타워
삼성SDS 타워

 

[투데이에너지 장재진 기자] ·

삼성SDS가  제40기 정기 주주총회가 19일 서울 잠실 캠퍼스에서 개최했다.

이번 주주총회에서는 재무제표 승인, 이준희 및 이호준 사내 이사 선임, 이사 보수 한도액 승인 등의 주요 안건이 의결됐다.

삼성SDS는 지난해 매출액 13조8282억원, 영업이익 9111억원을 기록하며 클라우드 및 디지털 물류 사업에서의 지속적인 성장을 보여주었다.

특히 클라우드 사업 부문에서는 2조3235억원의 매출을 달성하여 전년 대비 24% 증가하였고, 이는 IT 서비스 사업에서 37%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는 주요 사업으로 자리 잡았다.

또한 삼성SDS는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한 GPUaaS(GPU as a Service) 사업과 기업용 생성형 AI 플랫폼인 패프릭스(FabriX), 협업 솔루션 브리티 코파일럿(Brity Copilot)을 통해 생성형 AI 사업을 본격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성과를 통해 삼성SDS는 IDC가 발표한 2023년 국내 매니지드 클라우드 서비스(MSP) 시장 점유율 보고서에서 1위를,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CSP) 시장에서 2위를 기록하며 국내 클라우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물류 사업 부문에서도 디지털 물류 플랫폼 Cello Square의 매출이 1조1600억원을 돌파하여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했으며 1만9000여 개사가 가입 고객으로 확보되는 등 글로벌 디지털 물류 플랫폼으로서의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삼성SDS는 앞으로도 글로벌 경제 침체와 불확실한 경영 환경 속에서도 생성형 AI 기반 클라우드 사업을 강화하고, GPU 기반 AI 데이터센터를 준비하는 한편, 클라우드 전환 및 운영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ESG 경영을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과 저탄소 서비스 제공, 재생에너지 전환 및 AI 윤리 리스크 관리에도 힘쓸 예정이다

■용어 설명

ㆍ FabriX(패브릭스)= 기업의 다양한 데이터와 지식자산, 업무시스템 등 IT 자원을 생성형 AI와 연결해 직원들이 손쉽게 공유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생성형 AI 서비스 플랫폼

ㆍBrity Copilot(브리티 코파일럿)= 메일, 미팅, 메신저, 문서관리 등 기업의 공통 업무를 지원하는 협업 솔루션에 생성형 AI를 적용한 서비스

ㆍMSP(Managed Service Provider)= 기업 고객이 클라우드를 도입·운영할 때 컨설팅부터 네트워크 및 인프라 관리, 보안 및 모니터링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ㆍCSP(Cloud Service Provider)= 소프트웨어·스토리지·서버 등 가상화한 물리 자원을,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업

ㆍSRM(Supplier Relationship Management)= 구매 공급망 관리. 제품 생산에 필요한 자재, 부품, 인력, 서비스 등 기업활동에 필요한 항목을 효과적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돕는 솔루션

ㆍSaaS(Software as a Service):=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