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기후위기가 더 이상 기후만의 문제가 아닌 ‘보건 위기’로 번지고 있는 가운데, 기후와 보건을 연계한 국제사회의 대응 전략과 한국의 역할을 모색하는 자리가 국회에서 마련됐다.
국회의원 연구단체 ‘국회 글로벌 지속가능발전·인도주의 포럼(공동대표 이재정·안철수)’과 국제 인도주의 의료구호단체 ‘국경없는의사회(MSF)’는 지난 3일 국회의원회관 제8간담회의실에서 ‘기후위기, 국경을 넘다: 기후 보건 그리고 한국의 역할’ 토론회를 공동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기후위기가 감염병 확산, 영양실조, 강제이주 등 세계 보건 위기로까지 확산되는 현상에 주목해 국제사회의 공동 대응 필요성과 인도주의적 보건 접근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재정 국회 글로벌 지속가능발전·인도주의 포럼 대표의원은 “기후위기는 가장 취약한 사람들의 삶을 먼저, 가장 강하게 위협하고 있다”며 “대한민국이 보건과 기후 대응의 국제적 책임을 다하는 한편, ODA의 철학과 기준부터 다시 점검하고 보다 통합적이고 책임 있는 협력체계를 세워나가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행사에 함께한 엠마 캠벨 국경없는의사회 한국 사무총장은 “대한민국이 글로벌 보건과 기후 대응을 선도하고 있는 국가로서, 기후 보건 연계 정책 및 활동에서 전 세계적 모범을 보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며 “이번 포럼을 계기로 이러한 논의의 장이 확대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날 좌장은 정해관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명예교수가 맡았으며, 기조발제는 하은희 이화여대 의과대학 교수가 ‘지구 건강과 취약계층의 보건 위기’를 주제로, 제사 폰테베드라(Tessa Pontevedra) 국경없는의사회 스위스 의료총괄이 ‘MSF의 기후 대응 전략과 현장 경험’을 중심으로 각각 발표했다.
이어진 종합토론에는 이연수 한국국제협력단(KOICA) 사업전략처장, 이진원 세계보건기구(WHO) 아시아태평양 환경보건센터 과장, 패트릭 지통가(Patrick Gitonga) 녹색기후기금(GCF) 보건 및 기후 선임전문가, 정현미 국경없는 과학기술자회 부회장이 참여해 한국의 ODA 방향성과 다자 협력 확대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이번 토론회를 계기로 이재정 의원은 “기후보건이라는 복합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ODA의 분절된 구조를 점검하고, 철학과 기준을 갖춘 원칙 있는 협력체계를 마련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국제사회가 기후변화와 보건을 별개의 이슈가 아닌 서로 얽힌 복합 위기로 인식하기 시작한 가운데, 이번 국회 토론회는 한국이 단순한 원조 제공국을 넘어 글로벌 규범 형성의 주체로 발돋움하기 위한 첫 단추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 집단에너지, “요금 동결만 탓할 일 아니다”...제도 개혁 없는 형평성 논란은 공허
- 민관 손잡고 5000억 규모 '녹색인프라 수출펀드' 조성
- 광명시, 미니태양광 설치비 90% 지원...“탄소중립은 시민과 함께”
- [이재명 대통령 기자회견] 李 대통령 “에너지 고속도로·재생에너지 아낌없이 투자”
- 이언주 의원, ‘플라스틱 오염 종식과 탄소중립’ 국제포럼 개최
- 개그우먼 이수지 “온도주의, 저도 함께하겠습니다”...기후위기 동참
- “기후변화영향평가, 선언 아닌 실천 도구 돼야”
- [해외] 구테흐스 “화석연료 시대 종말...청정에너지로 전환할 결정적 기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