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장재진 기자]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최근 제주, 전남, 부산(강서), 경기(의왕) 등 4곳을 분산에너지 특구로 최종 확정하며 지역 기반의 에너지 신산업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분산에너지 특구는 기존의 원거리 송전망 방식에서 벗어나 수요지 인근에서 에너지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지산지소형'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따라 전력 시장을 거치지 않고 발전 사업자와 전기 사용자 간 직접 전력 거래가 허용되며, 규제 특례를 통해 다양한 요금제 도입과 신산업 모델 활성화를 꾀할 수 있게 된다.
이번 선정에서 아쉽게 보류된 울산, 충남, 경북 지역은 향후 재심의를 거쳐 추가 논의될 예정이다. 이번에 분산에너지 특구로 지정된 네 지역의 주요 특징과 추진 사업 내용은 다음과 같다.
부산 - 산업 경쟁력 강화 위한 효율적 수요 관리
부산은 전력 공급 대비 수요가 높은 지역으로, 효율적인 수요 관리가 시급한 상황이다. 부산시는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을 통해 '신산업활성화형' 모델을 중심으로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설치하고, 이를 활용해 산업단지, 항만, 데이터센터 등 다양한 수용가의 전기요금을 절감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부산은 연간 157억 원의 산업체 전기요금 절감과 총 2,500억 원 규모의 전력 설비 투자비 절감 효과를 볼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분산에너지 통합 관리 플랫폼을 구축하여 통합 모니터링, 직접 전력 거래,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 등의 기능을 제공할 계획이다.

경기 -스마트 마이크로그리드 통한 전기차 충전 수익 창출
경기 역시 전력 수요가 높은 지역으로, 수요 관리에 중점을 둔 사업을 추진한다. 경기 의왕시에서는 공원 내에 태양광 발전 시설, 에너지저장장치(ESS), 전기차 충전소를 연계한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 시스템을 통해 저장된 전력을 전기차 충전에 활용하고, 여기서 발생하는 수익을 창출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실증할 예정이다. LS일렉트릭, LS사우타 등 관련 기업들이 공원 내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이를 통해 지역 에너지 자립도를 높이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제주 - 재생에너지 혁신의 선두주자
제주는 풍부한 재생에너지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재생에너지 입찰제도 및 실시간 전력시장과 같은 혁신적인 제도가 이미 구축되어 있어 분산에너지 시스템 실험에 최적의 장소로 평가받았다. 제주 지역은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을 통해 △피투에이치(P2H: 재생에너지 잉여 전력을 히트펌프를 이용해 열에너지로 전환) △가상발전소(VPP: 재생에너지와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을 통합하여 전력 시장에 참여) △브이투지(V2G: 전기차 배터리를 ESS처럼 활용해 전력 시장에 참여) 사업을 활발히 추진할 계획이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신산업 성장과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가속도를 붙일 것으로 기대되다. 또한, 새로운 보상 체계 마련과 P2H, 전력수요관리(DR) 등 전용 요금제 도입으로 도민들에게 저렴한 전기 요금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전남- 태양광 잠재력 통한 데이터센터 유치
전남은 전국에서 태양광 보급률이 가장 높은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계통 부족으로 인해 출력 제어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를 겪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전남은 태양광 발전소가 밀집한 해남, 영암 지역에 데이터센터를 유치하여 지역 내에서 전력을 생산하고 소비하는 자립형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또한,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전력 생산 및 소비 최적화 마이크로그리드 기술을 산업단지와 대학에 실증하고, 재생에너지 접속 대기 물량을 최소화하며 배전망 운영 효율화를 위해 ESS를 보급할 계획이다. 특히, 전남은 전 지역이 특구로 확대 지정될 가능성도 논의되며, AI 기반 전력 수요처인 클라우드 기업 유치, ESS 및 수소 전력망 통합 운영 플랫폼 구축 등이 추진될 수 있다.
이처럼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은 전력 시스템의 수도권 집중 문제를 해소하고, 지역별 특성에 맞는 에너지 신산업을 육성하여 국가 전체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