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톤 미만의 소형저장탱크 시장이 지난해 크게 성장했던 것으로 나타났지만 지난해부터 상승하기 시작한 LPG가격이 발목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가스안전공사에서 집계한 소형저장탱크 설치현황에 따르면 지난해말까지 약 1만1,535기의 벌크가 LPG사용시설에 설치된 것으로 조사됐다.

LPG용기로 공급할 때보다 가스사용시설 방문 횟수가 줄어들어 인건비와 연료비 등의 절감효과 때문에 소형저장탱크 설치를 선호하게 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여전히 문제점은 남아 있다.

우선 500kg(0.5톤) 이상의 소형저장탱크를 설치했을 때에는 안전관리자를 선임해야 될 뿐 아니라 벌크로리 구입 등 많은 투자비가 소요되는 것이 소형저장탱크 설치 확산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부에서는 배송센터 시범사업을 통해 0.5~1톤까지의 소형저장탱크에 대해 가스공급자가 안전관리자를 선임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했지만 배송센터 전국확대가 추진되지 못해 이런 혜택을 지금은 누릴 수 없는 상태다.

이 때문에 LPG업계의 관계자는 “안전관리자를 선임해야 할 소형저장탱크 설치시설에 대해 양성교육과 같은 제도를 도입하는 것도 LPG업계에 숨통을 터주는 길”이라고 호소하고 있다.

사업자간 경쟁도 소형저장탱크 설치에 어려움을 주고 있기는 마찬가지다. 먼저 소형저장탱크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LPG사업자간 LPG가격 할인경쟁에 일부 사업자들은 벌크사업에 대해 엄두도 내지 못하는 실정이다.

벌크로리와 소형저장탱크, 기화기 및 가스경보기 설치 등을 구입해야 하는 부담을 벌크로리를 통해 가스를 공급하는 사업자가 떠안고 있는 게 현실이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해말부터 상승하기 시작한 LPG가격도 보일러 등유 등 타 연료에 비해 비싸다는 평가를 산업체 등 소형저장탱크를 설치한 곳으로부터 듣고 있는 상태다.

결국 LPG가격에서 많은 비용을 차지하는 유통비용을 줄이기 위해 소형저장탱크를 설치하고 있지만 각종 규제와 LPG가격이 소형저장탱크 설치를 확대시키는데 역효과를 낳고 있는 셈이다.

LPG업계의 한 관계자는 “고비용 저효율의 LPG유통구조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소형저장탱크 설치에 따른 각종 규제를 풀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충전·판매 등 LPG공급자의 안전관리 수준 등을 감안해 차별화된 규제도 검토할 때가 됐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