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충섭
한국석유관리원 녹색기술연구소 소장
[투데이에너지]  지난 겨울 기록적인 한파로 인하여 경유차량의 시동불량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는 유사휘발유의 불법유통으로 주유소 폭발과 차량 화재사건 등이 사회문제로까지 대두되자 자동차용 연료 품질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고조되고 있다.
  
자동차용 연료의 품질은 차량성능은 물론, 대기환경과 안전문제에 직결되기 때문에 대단히 중요하고 이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관심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이웃 일본에서는 1996년도에 '휘발유등의품질확보등에관한법률'을 제정해 석유제품의 품질확보를 도모했다.
  
하지만 자동차용 연료 품질 문제가 계속하여 발생하고, 특히 2001년에는 고농도 알코올함유연료의 사용에 의한 일련의 차량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연료와 차량문제를 조사하고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 '종합에너지조사위원회'· '석유부회'· '연료정책소위원회'를 설치하고 자동차 적용평가를 통해 품질문제를 규명한 바 있다.
    
이후 계속해 자동차기술 발전에 따른 연료품질 개선과 바이오디젤, 바이오ETBE 등의 대체연료를 상용화하기 위한 실증평가 등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2003년에 일본사례와 유사하게 유독물질인 메탄올을 원료로 한 세녹스가 전국적으로 확산됨에 따라 자동차용 연료로서의 성능, 배출가스 및 안전성 등 품질문제를 규명한 바 있으나 체계적인 시스템이 갖춰져 있지 않아 일회성으로 그치고 말았다.
  
또한, 2005년에 '석유사업법'을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 사업법'으로 전면 개정하여 바이오연료, 석탄액화연료 및 DME 등의 석유대체연료의 보급기반이 조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품질에 대한 심도있는 평가연구가 진행되지 않고 있어 실제 차량용 연료로의 보급은 미약한 상황이다. 
  
현재 한국석유관리원에서 석유제품의 현안 사항 등을 심의하기 위한 '품질관리심의위원회'를 설치·운영하고 있으며 기술적인 문제를 검토·해결하기 위하여 관련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워킹그룹을 운영하고 있다. 
  
석유제품의 효율적인 품질관리를 위해서는 유사석유제품을 효과적으로 단속하기 위한 신속하고 정확한 검사 시험방법의 개발, 용제류 등의 연료 전용 방지를 위한 최적 식별제의 선정 및 유사석유제품의 폐해 규명 등이 필요하다.
  
또한 자동차 기술발전과 환경변화에 부합한 최적 품질기준 설정 연구와 더불어 석유대체연료의 상용화를 위한 자동차와 연소기기에의 적용 평가 등 석유와 석유대체연료 품질 전반에 관련한 기초적인 문헌조사와 실증평가 등이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중장기 연료 품질 계획 수립은 물론 현안문제가 발생할 경우 즉시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품질검사 이외의 품질평가 연구 등을 수행하기 위한 재원조달이 여의치 않아 효과적인 대응은 기대할 수 없는 상황에 있다. 
  
따라서 석유제품과 석유대체연료 전반에 대한 성능과 안전을 고려한 심도있는 품질연구를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품질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이 필요한 시점이다.
  
최근 석유제품의 가격 상승으로 인해 서민살림을 더욱 어렵게 하고 국가경쟁력에도 악영향을 끼치고 있는 상황에서 석유제품의 효율적 사용과 석유대체연료의 보급 확대 등의 시대적 요구를 실현할 수 있는 '석유와 석유대체연료 품질향상 프로그램'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어느 때보다 절실한 상황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