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장재진 기자] 온실가스 주범인 '냉매'를  비법정대상까지 실시간으로 관리한다.

서울시는 한국환경공단과 함께 온실가스 배출 주범인 ‘냉매’ 배출 저감을 위해 전국 최초로 법정 규모 미만 시설의 냉매 기기도 전산화해서 관리한다고 12일 밝혔다.

냉매는 에어컨이나 자동차, 공조기 등의 냉동장치에서 주위 열을 흡수해 응축기에서 열을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물질이다.

프레온가스로 불리는 염화불화탄소(CFCs, 1세대)와 수소염화불화탄소(HCFCs, 2세대), 수소불화탄소(HFCs, 3세대) 등이 대표적이다. 냉매가 대기 중으로 유출되면 오존층을 파괴시켜 피부암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간 서울시에서는 냉매가 대표적인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보다 지구온난화에 최대 1만 1,700배까지 영향을 미치는 등 더욱 철저한 관리가 필요한 만큼 비법정관리 대상인 3알티(RT) 이상의 냉매기기 사용 정보도 수기로 관리해 왔었다. 

냉매 기기에 전자표지 연계 전산화가 되면서 냉매관리시설 담당자는 현장에서 편리하게 모바일 기기로 냉매의 충전·회수·처리 이력을 기록할 수 있게 되며, 시에서는 서울시 전체 냉매에 대한 충전·회수량 등을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됐다. 

 여장권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냉매는 온실가스 총배출량의 2.5%에 불과하나 온난화기여도는 24%”라며 “이번 전산화를 계기로 전체 냉매 현황과 충전·회수량 등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전자표지(QR코드) 부착 사진
전자표지(QR코드) 부착 사진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