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MS 학술지에 게재된 '차세대 탄소 포집 분리막 기술연구논문'  부분 사진./ SK이노베이션 제공
JMS 학술지에 게재된 '차세대 탄소 포집 분리막 기술연구논문' 부분 사진./ SK이노베이션 제공

[투데이에너지 정석현 기자] SK이노베이션(이하 SK)은 연세대학교 연구진과 함께를  '차세대탄소포집분리막 기술' 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SK에 따르면 이 기술은 머리카락 굵기의 500분의 1 정도인 200㎚(나노미터·10억분의 1m) 두께로 유기물을 고르게 코팅하는 박막 코팅 기술과 독자 개발한 유기물 첨가제의 시너지 효과로 무기물 없이도 높은 투과도의 분리막을 제조하는 기술이다.  제조비용이 저렴해 대량생산과 발전소, 철강, 시멘트 등 탄소 배출량이 많은 산업현장에 적용 가능할 전망이다.

또한 그 간 학계가 무기물을 첨가해 분리막의 기체투과성능을 향상한 점과 달리 유기물만을 활용한 점이 눈길을 끈다.

이성준 SK이노베이션 환경과학기술원장은 "이 성과는 에너지·화학 R&D 과정에서 축적된 SK이노베이션의 기술 역량과 외부 전문기관과의 시너지를 토대로 양산했다"라며 "탄소 포집 분리막 상업화를 위한 연구개발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 기술은  분리막 분야 최고 학술지 '저널 오브 멤브레인 사이언스'(Journal of   Membrane Science·JMS)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