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프랑스 항공기에 SAF를 급유하고 있다./출처 에어프랑스
에어프랑스 항공기에 SAF를 급유하고 있다./출처 에어프랑스

[투데이에너지 신영균 기자] 정부가 국내 SAF 활성화를 위한 방안과 실무작업을 속도감 있게 진행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토교통부는 26일 서울 석탄회관에서 국내 정유·항공업계, 석유관리원, 교통안전공단, 에너지경제연구원 등 20여개 기관이 참석한 가운데 민관합동 'SAF 혼합의무제도 설계 TF 제2차 전체 회의'를 진행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세 가지 안건을 중심으로 업계와 전문가들의 심도깊은 논의가 이루어졌다. 첫 번째 안건은 'SAF 혼합의무제도 국내 도입 방안'이었으며 에너지경제연구원이 유럽연합(EU), 영국, 일본 등 주요국의 SAF 혼합의무제도 사례 분석을 통해 국내 실정에 맞는 SAF 의무화 대상·시기·혼합비율, 법제화 방안 등을 제시했다.

두 번째 안건은 '국내 SAF 설비투자 유치 방안'이었다. 석유협회에서는 글로벌 생산·투자 현황, 원료 수급과 가격 동향 등 SAF 공급 측면에서 주요 이슈를 진단하고 생산 세액공제, 보조금 등 인센티브 강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다뤄진 안건은 'SAF 사용 항공사 인센티브 확대 방안'이었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SAF 사용 촉진을 위한 세계 국제공항의 지원사례 등을 분석하고 인천공항에서 SAF를 급유한 항공사를 대상으로 공항시설 사용료 감면 검토 방안 등을 제시했다.

산업부와 국토부는 이날 논의된 내용을 포함해 국내 SAF 활성화에 필요한 추가적인 방안들도 발굴할 예정이며 실무작업을 속도감 있게 진행해 내년 상반기 내에 '중장기 SAF 혼합의무 로드맵'을 발표할 계획이다.

윤창현 자원산업정책국장은 “미국 신행정부 출범, 러-우 전쟁 지속 등으로 글로벌 에너지 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항공 분야 탄소중립 대응을 위해서는 SAF 사용이 필수불가결한 선택”이라며 “정유·항공업계와 전문가의 의견을 청취해 국내 실정에 적합한 예측가능한 제도적 기반을 확실하게 만들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경수 항공안전정책관도 “국제항공 탄소중립(Net-Zero)과 해외 SAF 의무화에 대비해 국적항공사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합리적인 제도를 마련하고 국내 공항의 SAF 공급 환경 개선에도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유럽연합은 2025년 1월부터 EU 회원국 공항에서 출발하는 모든 항공기에 SAF를 최소 2% 의무 혼합하는 정책을 시행하기로 했다. 에어프랑스는 지난해 자사 항공기에 3만6,618톤의 SAF를 보급해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10만톤 감축하는 성과를 이루었다.

2030년까지 SAF 사용 비율도 유럽연합 기준을 크게 상회하는 10% 이상까지 달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에어프랑스-KLM그룹은 2022년 전 세계 SAF 생산량의 17%를 사용했고 2023년에는 16%를 사용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