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재생에너지 산업은 데이터센터·전기차·제조업 부문에서의 폭발적인 전력 수요 증가에 힘입어 빠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풍력·태양광·배터리 저장 기술은 신규 전력 공급의 9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중심축이 되어가고 있다. /이미지 편집
미국의 재생에너지 산업은 데이터센터·전기차·제조업 부문에서의 폭발적인 전력 수요 증가에 힘입어 빠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풍력·태양광·배터리 저장 기술은 신규 전력 공급의 9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중심축이 되어가고 있다. /이미지 편집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재집권으로 미국 재생에너지 산업이 중대한 시험대에 올랐다.

트럼프는 전임 시절부터 화석연료 중심 에너지 정책을 공공연히 지지해 왔으며, 현재에도 연방정부 차원의 육상 및 해상 풍력 개발 중단,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Inflation Reduction Act) 폐기, 그리고 재생에너지 인센티브 축소 등을 이어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재생에너지 산업은 데이터센터·전기차·제조업 부문에서의 폭발적인 전력 수요 증가에 힘입어 빠른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 특히 풍력·태양광·배터리 저장 기술은 신규 전력 공급의 9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중심축이 되어가고 있다.

재생에너지 업계는 현실적인 전력 수요 문제를 근거로 적극적으로 대응에 나서고 있다.

넥스트에라 에너지(NextEra Energy)의 존 케첨(John Ketchum) CEO는 최근 인터뷰에서"재생에너지와 저장장치를 테이블에서 치우면, 전기요금은 천정부지로 치솟을 것"이라며 그리드(전력망) 안정성과 비용 효율 측면에서 재생에너지의 필요성을 강하게 피력했다.

이는 트럼프가 주장하는 "그린 뉴 스캠(Green New Scam)"이라는 정치적 수사와는 다른 산업계의 실제 위기 인식이다.

미국은 지난해 약 18.2GW의 유틸리티 규모 배터리 저장 설비를 새로 가동, 이는 전년도 기록인 10.3GW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풍력·태양광 발전은 간헐성의 한계를 안고 있지만, 배터리 시스템과 결합하면 안정적 24시간 전력 공급도 가능해진다.

또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는 천연가스 발전소보다 개발 속도가 빠르며(12~18개월 소요), 물가 충격 이후에도 설치 비용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낮다. 이는 정책 리스크와 무관하게 재생에너지 투자의 상대적 우위를 설명하는 핵심 지점이다.

미국청정에너지협회(American Clean Power)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IRA의 경제적 효과가 10년간 1.9조 달러에 달할 수 있으며, 2032년까지 청정에너지 일자리도 6.5백만 개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단순한 기후 정책이 아닌 국가 경제정책 및 에너지 주권 확보 전략으로 재생에너지를 봐야 한다는 업계 입장을 대변한다.

미 의회의 일부 의원들은 최근 풍력·태양광·수력·지열·원자력 등 저탄소 발전원에 대한 세제 혜택 유지를 촉구하는 서한을 행정부에 발송하며, 에너지 다변화를 통한 국가 안보 확보가 중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치적 공방 속에서도 전력 수요 급증, 기술 발전, 프로젝트 효율성, 경제적 타당성 등 다수의 변수가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촉진하고 있으며, 이는 단순한 ‘녹색 이상’이 아닌 시장 기반의 현실 대응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