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파이어 윈드는 단지 하나의 프로젝트가 아니라, ‘트럼프 시대의 기후정책 전환 방향’을 드러내는 사례다. /이미지 편집
엠파이어 윈드는 단지 하나의 프로젝트가 아니라, ‘트럼프 시대의 기후정책 전환 방향’을 드러내는 사례다. /이미지 편집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미국 해상풍력 산업의 상징 중 하나였던 엠파이어 윈드(Empire Wind) 프로젝트가 2024년 착공 1년도 채 되지 않아 중단 위기에 놓였다. 미 내무부(Department of Interior)의 더그 버검(Doug Burgum) 장관은 4월 중순 “해당 사업의 절차적 결함과 바이든 정부의 무책임한 승인을 이유로 즉각 공사를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엠파이어 윈드는 2017년 3월, 트럼프 대통령 1기 당시 연방해양에너지관리국(Bureau of Ocean Energy Management, BOEM)이 승인한 사업이라는 점에서 정책의 일관성·정치적 책임 회피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 정책이 아닌 정치가 멈췄다…BOEM·Equinor "문제없었다" 해명

엠파이어 윈드는 노르웨이 국영 에너지기업 에퀴노르(Equinor)가 주도해 개발 중인 프로젝트로, 롱아일랜드(Long Island) 인근 해역에서 최대 2.1GW 규모의 전력을 생산해 약 50만 가구에 공급할 계획이었다.

버검 장관은 "바이든 행정부가 환경영향 분석 없이 서둘러 승인했다"고 주장했지만, BOEM과 에퀴노르는 수년간 조류·해양 생태계 영향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완화 계획을 수립해왔다며, "내무부와 협의해 허가 관련 문제를 파악 중"이라고 밝혔다. 정작 해당 사업의 시작은 트럼프 1기 행정부였고, 지금은 그 연속성을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끊는 셈이다.

■ 트럼프, 환경보다 석탄과 석유로 회귀…IRA 이후 또 한 번의 후퇴

엠파이어 윈드 중단은 올해 1월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해상풍력 신규 사업 보류 행정명령의 연장선에 있다. 이는 에너지 정책의 전면적인 후퇴이자, 석탄·석유 산업 회귀 신호로 해석된다. 최근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내 신규 석탄광 개발 및 해양 석유 시추 허가를 확대하고 있으며, 미 노동부는 석탄산업 진입을 독려하는 채용공고까지 게시하고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